<앵커>
다음 달 6일로 미뤄진 학교 개학이 더 늦춰질 가능성에 대비해서 교육부가 이른바 '온라인 개학'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학생들이 학교에 가지 않고 학기를 시작하겠다는 것인데 지역별로, 또 학교에 따라서 개학 방식이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한지연 기자입니다.
<기자>
다음 달 6일로 연기된 개학을 예정대로 추진하기 위해 교육부가 '온라인 개학'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유은혜/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 수업이 중단되는 만일의 상황을 대비하고자 4월 6일 개학의 방식에 등교 개학과 온라인 개학을 병행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한 학교에서도 확진자 발생 상황 등에 따라 학생과 교사가 교실에 모여 하는 '집합 수업'과 '온라인 수업'을 번갈아 진행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정부는 수업의 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다음 주 시범학교 운영 결과를 보며 구체적인 '원격수업 운영 기준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입니다.
온라인 재택수업을 이미 실시하고 있는 중국과 일본, 유럽 일부 국가의 사례도 참고할 방침입니다.
전문가들은 온라인 수업을 위한 프로그램이 여전히 부족한 데다 집에 스마트폰이나 컴퓨터가 없는 소외계층 학생도 13만여 명이나 되는 만큼 세심한 기준과 보완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영상편집 : 위원양)
한지연 기자(jyh@sbs.co.kr)
▶ 코로나19 속보 한눈에 보기
▶ VOTE KOREA 2020 온라인 갤러리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다음 달 6일로 미뤄진 학교 개학이 더 늦춰질 가능성에 대비해서 교육부가 이른바 '온라인 개학'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학생들이 학교에 가지 않고 학기를 시작하겠다는 것인데 지역별로, 또 학교에 따라서 개학 방식이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한지연 기자입니다.
<기자>
다음 달 6일로 연기된 개학을 예정대로 추진하기 위해 교육부가 '온라인 개학'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유은혜/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 수업이 중단되는 만일의 상황을 대비하고자 4월 6일 개학의 방식에 등교 개학과 온라인 개학을 병행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교육계는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역별로 다른 만큼 지역이나 학교에 따라 개학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고 전망합니다.
한 학교에서도 확진자 발생 상황 등에 따라 학생과 교사가 교실에 모여 하는 '집합 수업'과 '온라인 수업'을 번갈아 진행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정부는 수업의 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다음 주 시범학교 운영 결과를 보며 구체적인 '원격수업 운영 기준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입니다.
온라인 재택수업을 이미 실시하고 있는 중국과 일본, 유럽 일부 국가의 사례도 참고할 방침입니다.
[유은혜/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 동일한 그 수준의 원격교육이 가능할지 여부도 이번 주, 다음 주 시범학교 운영이나 이런 걸 보면서 좀 판단을 해야 될 것 같습니다.]
전문가들은 온라인 수업을 위한 프로그램이 여전히 부족한 데다 집에 스마트폰이나 컴퓨터가 없는 소외계층 학생도 13만여 명이나 되는 만큼 세심한 기준과 보완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영상편집 : 위원양)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지연 기자(jyh@sbs.co.kr)
▶ 'n번방 · 박사방' 성착취 사건 파문
▶ 코로나19 속보 한눈에 보기
▶ VOTE KOREA 2020 온라인 갤러리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