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1 (금)

5년간 농어촌에 국공립어린이집 130개·도서관 120개 늘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하수도 보급율 73.5%→77% 등 정주환경 개선

농어업인 삶의질 향상 5개년 계획에 51조 투·융자

뉴스1

농어촌 지역 통학버스(경남도교육청 제공)© 뉴스1


(서울=뉴스1 ) 박주평 기자 = 정부가 농어촌 지역의 국공립 어린이집을 올해 720개에서 오는 2024년 850개로 늘리고, 같은 기간 도서관도 30개에서 150개로 확충한다. 또 노후주택 개량과 슬레이트 철거 등을 지원해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귀촌인을 대상으로 창업 교육과 자금 등을 지원해 지역순환경제를 구축한다.

정부는 이런 내용의 '제4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에 향후 51조원을 투·융자함으로써 '사람이 돌아오는 농어촌'을 만들 계획이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1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9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위원회를 개최하고 '제4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기본 계획은 올해부터 2024년까지 5개년으로 추진되며 Δ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제공과 포용적 공동체 육성 Δ교육·문화 기회의 형평성 보장 Δ농어촌다움이 살아 있는 정주기반 구축 Δ경제활동 다각화와 지역순환경제 구축 등 4대 전략별 183개 과제를 담고 있다. 정부는 이를 이행하기 위해 5년간 총 51조원을 투·융자한다.

우선 농어촌 지역의 열악한 의료 여건을 개선하고, 고령화 심화에 따른 돌봄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맞춤형 돌봄 시스템을 도입한다. 현재 720개 수준인 국공립 어린이집을 2024년까지 850개로 늘리고, 농어촌 공동아이돌봄센터 등 보육시설도 확충한다. 농어촌 보육교사 근무여건을 개선하고 찾아가는 보육서비스도 확충해 '아이 키우기 좋은 농어촌'을 만든다.

노인들을 위해서는 거점 공공병원 시설·장비를 현대화하고, 의료 서비스(응급, 분만 등) 취약지역을 지원한다. 여성 농어업인을 대상으로 특수건강검진을 시범 도입하는 등 예방적 건강서비스도 강화한다.

농어촌 주민들에게 교육·문화 기회의 형평성도 보장한다. 공공·작은 도서관을 올해 30개에서 2024년까지 150개로 늘리고, 찾아가는 도서관·박물관, 문화가 있는 날을 활성화한다. 또 농어촌 학생 통학버스 지원(에듀버스·통학택시 등), 온라인 화상교실 등 ICT 기술을 활용해 학습 활동을 지원하고, 생태·환경 등 농어촌 특성을 반영한 교육서비스를 확충한다. 성인 문해(文解) 교육 프로그램 활성화하고, 평생학습도시를 2024년까지 49개 지정해 지역의 특성이나 인구 구성을 고려한 프로그램도 확대한다.

쾌적한 정주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도 기울인다. 노후주택 개량과 슬레이트 철거 지원, 빈집 정비 등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하수처리 시설, 도시가스, 소형 LPG 저장탱크 등 보급을 확대한다. 현재 73.5%에 머무는 하수도 보급률을 2024년에는 77%까지 높인다.

끝으로 농어촌 자원을 활용해 소득원을 다각화하고, 맞춤형 지원으로 취업과 창업을 활성화한다. 현재 229개인 로컬푸드 판매장을 2024년까지 1210개로 늘리는 등 유통채널을 체계화해 지역경제 활력을 제고한다. 청년의 취·창업이나 귀촌인을 대상으로는 창업 교육·자금 지원, 유휴시설을 활용한 창업공간을 지원해 일자리를 창출한다.

정 총리는 "농어촌 삶의 질 개선은 농어업인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라며 "농어촌이 살기 좋아지면 도시 인구의 분산과 국토 균형발전, 저출산 추세 완화 등 국가적 문제를 해결하는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jupy@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