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령 박사 |
“생과 죽음이 등을 마주 댄 부조리한 삶. 이것이 내 평생의 화두였으며, 생의 막바지에 이르러 죽음 아닌 탄생의 이야기를 쓰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올해 여든여덟. 그의 말마따나 ‘생의 막바지´에 있는 한국의 지성 이어령 박사의 책이 새로 나왔다. 신간 ‘너 어디에서 왔니´(파람북)는 그의 삶의 대미를 장식할 ‘한국인 이야기’ 시리즈 첫 번째 책이다. 주제는 ‘탄생’으로, 문화 유전자가 우리의 의식과 무의식을 지배하는 비밀을 담고 있다는 내용이다. 저자는 우리가 무심코 지나쳤던 사실에 질문을 던지고서 과거와 현재를 오가고, 동서양을 누비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다니며 답을 찾아낸다. 예컨대 태명에 관해 설명할 때, 과거 태명 ‘개똥이’와 요즘 태명 ‘쑥쑥이’ 등을 비교한다. 태명은 한국에만 있는 풍습인지 궁금증이 생긴 저자는 인터넷을 검색해 영국에서 거주하는 주부의 블로그에서 이야기를 가져오기도 한다. 서양 문화권에는 원래 태명이 없었지만, 초음파 촬영 기술이 발전하면서 ‘요다’나 ‘타이거’와 같은 이름을 붙이기 시작한 것으로 추측하기도 한다. 태중 아이를 한 살로 보는 우리식 관점을 통해 우리가 태아에 유독 관심이 많고, 태명에도 집착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통해 한국인 특유의 ‘연결’을 강조한다. 아기를 안고 자며, 포대기로 업고 다니는 등 최대한 엄마와 밀착함으로써 엄마 배 속의 환경과 일체가 되려 하는 것이라는 주장으로 이어진다.
‘굶는 건 참아도 궁금한 건 못 참는다´는 저자는 자신을 ‘21세기의 패관(稗官)’이라 자청한다. 술청과 저잣거리, 사랑방을 드나들며 이야기 꾸러미를 기록으로 챙겨온 조선시대 패관처럼 온갖 텍스트와 인터넷에 떠도는 이야기를 채록해 재구성했다. ‘꼬부랑 할머니’ 동요를 시작으로 모두 12개 고개를 넘으며 이야기판이 벌어진다. ‘태명 고개’를 시작으로 ‘배내 고개’, ‘출산 고개’, ‘삼신 고개’, ‘기저귀 고개’, ‘어부바 고개’, ‘옹알이 고개’, ‘돌잡이 고개’, ‘세 살 고개’, ‘나들이 고개’, ‘호미 고개’, ‘이야기 고개’마다 3~5개 이야기(꼬부랑길), 모두 53개의 꼬부랑길로 구성했다.
첫 저서 ‘흙 속에 저 바람 속에’를 시작으로 지난 60년 동안 무려 100여권의 저서를 냈지만, 이번 책은 특히 힘들었다는 게 저자의 설명이다. 지난 10년 동안 무리한 집필로 머리 수술을 받았고, 암 선고를 받은 뒤 두 차례 큰 수술을 겪은 후 나온 산고의 결과다. 한편, 저자는 후속으로 ‘알파고와 함께 춤을’, ‘젓가락의 문화 유전자’, ‘회색의 교실’(가제)을 올해 안에 출간한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