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도난된 문화재 '권도 동계문집 목판' 회수…가문에 반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문화재청, 5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반환식 개최

뉴스1

도난됐다 회수된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33호 ‘권도 동계문집 목판’.(문화재청 제공)© 뉴스1


(서울=뉴스1) 이기림 기자 = 도난당한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33호 '권도 동계문집 목판' 134점이 회수돼 원래 보관돼오던 가문의 품으로 돌아가게 됐다.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2016년 6월 도난당한 '권도 동계문집 목판'(權濤 東溪文集木版) 134점을 지난 1년여 간의 끈질긴 수사 끝에 최근 온전하게 회수했다고 5일 밝혔다.

문화재청 사범단속반에서는 2018년 11월쯤 첩보를 입수한 후 꾸준한 수사 끝에 유물을 모두 회수했다.

해당 목판은 경남 산청군 안동권씨 종중 장판각에서 보관돼 오다가 도난당한 문화재로, 조선 중기 문신인 동계 권도(1575~1644)의 시문을 모아 간행한 책판이다.

이는 순조 9년(1809)에 간행됐으며 전부 8권으로 크기는 52×28×3㎝ 내외다.

해당 목판에는 다양한 글들이 실려 있어 조선 시대의 기록문화를 상징하는 유물로 평가되며, 조선 시대 양반생활과 향촌사회의 모습 등 당시 사회사와 경제사 등 역사 전반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다.

권도는 1601년(선조 34년) 진사시에 합격했고, 1613년(광해군 5년) 문과에 급제한 인물이다. 인조반정 후인 1623년 6월 승정원 주서로 나간 이후 홍문관, 성균관, 사헌부 등에서 근무했고, 64세 때는 통정대부(정3품 문관의 품계)에 올라 이듬해 대사간에 제수됐다.

문화재청은 이날 오전 서울 국립고궁박물관 대강당에서 회수한 목판 134점을 언론에 공개하고, 안동권씨 종중에 회수된 목판들을 다시 돌려주는 반환식을 개최한다.

문화재청 측은 "앞으로도 경찰청과 공조해 도난·도굴과 해외밀반출 등 문화재 사범을 단속하고 문화재 불법유통 차단 등 건전한 유통질서를 확립할 계획"이라며 "소중한 문화재들이 제자리에서 그 가치에 맞는 보존과 활용이 이뤄질 수 있도록 관계 기관과 꾸준히 협력할 것"이라고 했다.
lgirim@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