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필동정담] "내가 정어리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어리는 고급스러운 생선은 아니다. 10㎝ 안팎의 이 물고기는 단백질과 지방질이 풍부해 해양생물의 주요 먹잇감이 되다 보니 '바다의 쌀'로 불렸다. 영어명 사르딘(sardine)은 정어리가 많이 잡힌 이탈리아 사르데냐 섬에서 유래했다. 정약전이 쓴 '자산어보'에서도 '대추'라는 명칭으로 흑산도 연해에 내유한다고 기록돼 있으니 백성에게 식량으로 활용된 것으로 보인다. 정어리의 가장 큰 특징은 수백·수천 마리가 무리를 지어 장거리 이동을 하는 것이다. 작고 허약한 종이다 보니 상어 등 덩치 큰 포식자에게서 살아남기 위해서다.

이탈리아에서 스스로를 '정어리 떼'라고 칭하는 시위대가 등장해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정어리 떼 시위는 지난해 11월 시민 4명이 페이스북을 통해 극우 정치인 마테오 살비니에게 반대하는 시민운동을 제안하면서 시작됐다. 작은 물고기 수백만 마리가 떼를 지어 다니며 천적을 상대하듯 다수의 나약한 시민이 뭉쳐 힘을 보여주자는 취지다. 이들은 '내가 정어리다' '모든 바다의 정어리여, 단결하라' 등 문구를 적은 정어리 그림을 들고 시위에 참여하고 있다. 이달 26일 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주 지방선거에서 재기를 노리고 있는 극우 정당 '동맹'의 마테오 살비니 대표를 겨냥한 것으로 시위대는 반난민정책, 극우·혐오 정치를 그만두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지난해 12월 로마 산조반니광장에 정어리 떼 10만명이 집결했고, 지난 19일 볼로냐 집회에도 4만명이 운집해 정치권을 놀라게 했다. 현재 이탈리아 연립정부의 한 축인 오성운동이 2007년 분노한 시위대가 만든 반체제 정당이었다는 점에서 정어리 떼 운동이 향후 정치세력화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에밀리아로마냐주는 '좌파의 성지'로 불렸지만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우파 연합이 급속히 세를 불리고 있어 투표 결과를 점치긴 쉽지 않다. 자발적인 시민 모임 정어리 떼가 과연 정치 구도를 바꿔놓을 수 있을지 지구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심윤희 논설위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