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6 (일)

北, 6일만에 또 "중대한 시험"…"핵전쟁억제력 더한층 강화"(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北, 서해위성발사장서 지난 7일에 이어 재차 실험…엔진 실험 무게

15일 방한 美 비건 대표 행보 주목…美국방 "높은 준비태세 유지"

뉴스1

제프리 루이스 미들버리 국제학연구소 동아시아 비확산프로그램 소장이 8일(현지시간) 공개한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소재 서해위성발사장의 7일자(위) 및 8일자(아래) 위성 사진 모습.©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최종일 기자 = 북한이 자체 설정한 미국과의 연말 비핵화 협상 시한을 앞두고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북한이 13일 밤 서해위성발사장에서 또 다시 "중대한 시험"을 진행했다. 지난 7일에 이어 6일만이다.

북한 국방과학원 대변인은 14일 담화를 통해 "2019년 12월 13일 22시 41분부터 48분까지 서해위성발사장에서는 중대한 시험이 또다시 진행되였다"고 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이어 "우리 국방과학자들은 현지에서 당중앙의 뜨거운 축하를 전달받는 크나큰 영광을 지녔다"고 전했다.

국방과학원 대변인은 "최근에 우리가 련이어 이룩하고있는 국방과학연구성과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믿음직한 전략적핵전쟁억제력을 더한층 강화하는데 적용될것"이라고 덧붙였다.

서해위성발사장은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에 있는 미사일 발사장으로 지난 7일에도 이곳에서 "중대한 시험"을 진행했다고 북한은 밝힌 바 있다.

북한은 당시엔 '중대한 시험'이 "전략적 지위"를 변화시키게 될 것이라고 했고, 이번에는 "전략적핵전쟁억제력"이 강화될 것이라고 밝혀 이번에도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나 위성 로켓 발사를 위한 엔진 시험을 추가로 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발표 주체가 국가우주개발국(NADA)가 아닌 국방과학원이고 북한이 "전략적 핵전쟁 억제력"을 언급한 점을 들어 "ICBM 관련 엔진 실험"이라고 진단하며, 종류에 대해선 "고체 연료 엔진일 수 있다"고 전했다.

북한은 연말 협상 시한을 보름여 앞두고 2차 '중대한 시험'을 통해 대미 압박의 수위를 더욱 끌어올린 것으로 보인다.

지난 7일 '중대한 시험' 직후 미국의 요청으로 유엔안보리가 소집되자 북한은 지난 12일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통해 "어느 길을 택할 것인가에 대한 명백한 결심을 내리게 하는 데 결정적인 도움을 주었다"고 강하게 반발한 바 있다.

외무성 대변인은 "우리는 지금과 같이 예민한 때에 미국이 우리 문제를 논의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공개회의를 주도하면서 대조선 압박 분위기를 고취한데 대하여 절대로 묵과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는 15일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해 16일 이도훈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만나 최근 한반도 정세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대북 정책을 조율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0월 초 스웨덴 스톡홀름 '노딜' 이후 실무협상이 열리지 않고 있고 또 북한이 '새로운 길'을 예고한 상황에서 이번 비건 대표의 방한은 북한을 협상장으로 복귀하게 하는 사실상 마지막 기회로 여겨진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친서 전달, 유화적 대북 메시지 발신 등으로 내년 초 실무협상 일정이 잡힐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지만 현재로선 북한이 태도를 바꿀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북한은 오는 23일 전후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를 열어 투쟁 방향을 결정하고 이를 내년도 신년사에 담아 발표한 뒤 '새로운 길'로 갈 것이란 예상에 무게가 실린다. 또 연말 전후 ICBM이나 로켓 발사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마크 에스퍼 미 국방장관은 13일(현지시간) 미국외교협회(CFR)가 주최한 행사에서 북한 문제에서 진전을 낼 수 있는 길은 외교적, 정치적 합의뿐이라고 밝혔다. 또 외교가 실패할 경우에 대비해 미군이 높은 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한편 지난해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북한이 동창리 폐쇄를 약속했다"고 밝혔고, 같은 해 9월 남북 평양공동선언에선 '영구 폐쇄'가 담겼지만 올해 2월 '하노이 노딜' 이후 복구 움직임이 포착됐다.

'미국의 소리(VOA)' 방송은 지난 13일 위성사진 서비스 '플래닛 랩스'와 구글어스 등을 분석한 결과, 동창리 일대의 최근 모습은 지난해 7월 공식 해체 작업이 시작되기 직전과 상태가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보도했다.
allday33@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