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서울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시가 '역세권 청년주택'의 임대료를 주변시세의 절반으로 낮추기 위해 일부를 분양하거나 공공기관이 매입하는 방식을 추진한다. 일반 분양물량에는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해 부작용은 최소화할 방침이다.
서울시가 26일 위의 내용을 골자로 한 역세권 청년주택의 혁신방안을 발표했다. 주요 실행 방안은 △사업유형 다양화 △행정 지원 및 규제 완화 △전용면적 확대 등 주거 수준 향상 △민간임대주택(주변시세의 85~95%수준) 주거비 지원 등이다.
현재 역세권 청년주택은 전체 물량의 20%만 주변 시세의 30% 수준의 임대료로 공급한다. 나머지 민간임대주택은 전체 분양 물량의 16%만 특별공급 형식으로 주변 시세의 85~95%로 공급한다.
국토교통부와 협의해 임대사업자가 아닌 금융기관이나 투자금융사 등도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법 개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청년주택에도 분양가상한제를 적용할 것"이라며 "매매가격이 주변시세 이하로 낮게 형성돼 주변에 미치는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 서울시는 청년과 신혼부부가 살고 싶은 주택을 만들기 위해 냉장고, 세탁기 등 필수 가전과 가구를 갖추고 전용 면적을 넓힐 계획이다. 주거면적이 1인 청년은 14㎡ 내외에서 14~20㎡로, 신혼부부는 30㎡ 내외에서 30~40㎡로 각각 확대된다.
또 청년과 신혼부부 대상으로 임대보증금 지원을 확대해 무이자로 최대 4500만원(신혼부부 6000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시는 전월세 전환율을 고려할때 임대 보증금을 4500만원 지원하면 월 임대료가 25~30% 줄어들 것으로 분석했다.
조한송 기자 1flower@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