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서울시, 노인 보행사고 상습발생지점 개선 공사 완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동훈 기자 = 노인들이 걷다가 낙상 사고를 입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했던 전통시장 일대의 보도가 개선됐다.

22일 서울시에 따르면 동대문구 경동시장과 영등포시장을 비롯한 시내 7개 전통시장 보도에 대한 맞춤형 개선공사가 완료됐다.

경동시장의 '청량리 경동시장로'는 최근 5년(2014~2018년)간 서울에서 노인보행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했던 곳이다. 이 곳에는 차량과 완전히 분리된 폭 2.7m의 안전한 보행로가 새로 생겼다. 기존 보행로는 방문차량과 이용객, 상가 물건이 뒤엉키고 혼잡해 보행하는 어르신들이 사고 위험에 쉽게 노출돼 있었다.

경동시장 상인들도 새로 조성된 보행공간에 절대 상가물건을 내놓지 않겠다는 내용으로 구청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는 등 보행안전 동참에 나섰다.

뉴스핌

[서울=뉴스핌] 동대문 경동시장 보행환경 개선 사례 (위:개선전 아래:개선후) [자료=서울시] 2019.11.22 donglee@newspim.com


영등포역과 영등포청과물시장 사이에 있어 상시 교통량과 보행량이 많은 '영등포시장교차로'는 기존 교통섬 절반이 사라지고 보행공간이 생겼다.

또 성북구 '돈암제일시장'은 지하철역에서 시장까지 무단횡단이 잦았던 곳이지만 기존 횡단보도를 평지보다 높은 고원식으로 변경하고 신호등도 새롭게 설치했다.

이밖에 ▲성북구 길음시장 ▲강북구 미아역 ▲동작구 성대시장길 등에서 맞춤형 개선사업이 진행됐다.

시는 고령화시대를 맞아 노인보행사고 방지 특별대책으로 올해 처음 추진한 '노인보행사고 다발지역 사고방지사업'을 11월 말까지 모두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이후 내년에는 대상지를 연간 10개소로 확대 추진할 계획이다. 올해는 어르신보행사고 다발지역이 중심이었다면 내년에는 지역별 노인생활인구, 도로교통공단 노인보행사고 3차원공간정보시스템(GIS) 등 빅데이터를 활용해 선정할 예정이다.

황보연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급속한 고령화 시대 진입에 따라 어르신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노인보행사고 다발지역 곳곳을 맞춤형으로 개선했다"며 "내년에는 노인보행사고 다발지역뿐만 아니라 어르신들이 많이 생활하는 지역까지 포함시켜 노인보행안전 사각지대를 해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donglee@newspim.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