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1 (금)

김현미 장관 "대통령 제2공항 발언, 도민 여론 이미 확인 의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국민과 대화에서 한 제주 제2공항 발언을 두고 해석 논란이 일자 국토교통부 장관이 '제2공항은 도민 여론을 이미 확인한 사항이라는 의미'라며 대통령의 뜻을 대신 전했습니다.

원희룡 제주지사는 20일 오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김현미 국토부 장관에게 두 차례 통화해서 (국민과의 대화에서 나온 대통령의 제2공항 발언에 대해) 확인을 했다"며 "제2공항은 이미 도민의 여론을 확인한 사항이고 현 제주공항의 (포화로 인해) 안전 (문제 해결의) 시급성,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차질 없이 (제2공항을) 진행해야 한다는 뜻이라고 김 장관이 전해왔다"고 밝혔습니다.

원 지사는 "김 장관에게 전화 통화내용을 '공개해도 되느냐'고 물었고 '그렇다'라는 답변을 듣고 양해를 얻어 공개했다"고 SNS에 덧붙였습니다.

원 지사는 그러면서 "앞으로 국민과의 대화에서 나온 대통령의 발언과 뜻을 아전인수식으로 해석하는 것은 대통령의 뜻에 어긋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원 제주지사는 앞서 이날 열린 제주도의회 정례회 도정질문에서 "2014년 포화대책 용역을 했고 2015년 사전타당성 검토 용역을 해서 공청회도 하지 않았나. 이후 재조사 검토위원회도 했다"며 "국책사업으로서의 용역 과정을 놓고 도민들이 결정했다고 표현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2014년 국토교통부는 제주 항공수요조사 연구용역과 제주국제공항 포화대책 수립 용역을 실시했습니다.

국토부는 이어 2015년 제주 공항 인프라 확충 사전타당성 검토 연구용역을 시행해 발표했으며 사전타당성 검토 연구용역에 대한 공청회와 재조사 검토위원회가 열렸습니다.

원 지사는 "(국민과의 대화 당시) 질문자가 '공론화'를 콕 찍어서 이야기했는데, (이에 대해) 대통령은 '정부가 개입하기 어렵다'고 말했다"며 공론화 여부에 대해 '대통령이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는 취지로 발언했습니다.

반면 도내 시민사회단체 등으로 구성된 제주 제2공항 강행저지 비상도민회의(이하 제2공항저지 도민회의)는 대통령의 제2공항 관련 발언은 도민 자기 결정권과 공론화 해결을 지지한 것이라며 상반된 입장을 내 '해석 논란'이 일었습니다.

제2공항저지 도민회의는 이날 성명에서 "제2공항 문제 해법으로, 문 대통령이 도민 자기 결정권과 공론화 해결에 대해 지지 표명을 했다"며 적극적으로 환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제2공항저지 도민회의는 "문 대통령은 '제2공항 문제는 가장 큰 사안인데, 정부가 직접 개입하기는 상당히 어렵다'며 '정부가 아니라 도민 스스로 자기 결정권을 통해 판단하는 것이 옳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면서 "이는 결국 도민 공론화를 통해 최종적인 판단을 해 달라는 요청"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이번 문 대통령의 입장(도민 자기 결정권과 공론화 해결 지지 표명)으로, 지난 15일 제주도의회가 제2공항 갈등 해소를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본격 착수한 도민 공론화에 추진력을 얻게 됐다"고 말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19일 국민과의 대화에서 "정부가 기존 공항을 확장할 것이냐, 제2공항을 마련할 것이냐, 직접 개입하기는 상당히 힘들다. 그러니 그 선택은 주민의 선택에 맡겼던 것이고, 일단 제주도민들은 제2공항을 선택하셨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그런데 제2공항에 대해 현지 지역(성산읍) 주민들은 반대하는 분들이 많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또 "지금 제주공항은 완전히 포화상태여서 제주도의 발전이라든지 도민들의 이동권을 위해서도 공항을 확장하거나 제2공항을 만드는 게 필요하다"며 "정부는 제주도민들이 어떤 선택을 하든 그것에 대해 적극적으로 지원한다는 방침을 갖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권태훈 기자(rhorse@sbs.co.kr)

▶ [인-잇] 사람과 생각을 잇다
▶ [제보하기] 모든 순간이 뉴스가 됩니다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