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SIPRI "북한 AI 무기체계 개발 우려…사이버공격·핵위협 증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류미나 기자 = 북한의 인공지능(AI) 무기체계 개발 추이를 경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북한이 김정은 체제 들어 정보통신기술(ICT)과 사이버공간 분야 발전에 전력하고 있는 모습을 볼때 군사목적의 AI 연구개발이 이미 진행 중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6일 스웨덴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 홈페이지에 따르면 지난달 이 연구소가 발표한 '전략적 안정성과 핵 위험성에 대한 AI 영향 Ⅱ - 동아시아 관점' 보고서는 북한이 최근 들어 인공신경망(ANN), 로봇공학, 무인시스템, 사이버공간 등에 상당한 투자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북한의 최근 사이버·ICT 분야 급속한 발전 추이를 볼 때 가까운 미래에 머신러닝을 비롯한 AI 기술을 개발하고 군사활동에 적용할 것을 예상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김정은, 중국과학원에 전시된 AI 로봇에 관심
(서울=연합뉴스) 북한 조선중앙TV는 29일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지난 25∼28일 방중 영상을 공개했다. 사진은 중국과학원을 방문한 김 위원장이 전시장에 있는 인공지능(AI)로봇 '지아지아'(佳佳·왼쪽사진)를 바라보는 모습. 2018.3.29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nkphoto@yna.co.kr



보고서는 특히 북한의 AI 기술개발을 통한 사이버 공격 역량 강화 움직임에 주목했다.

AI 기술을 접목한 사이버 공격은 한국과 미국 컴퓨터 시스템의 보안취약점에 대한 사전감지를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핵 지휘통제통신 체계를 무력화하고 한국에 대한 미국의 확장 핵 억지력이 효력을 상실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북한의 또 다른 AI 전력화 관심 분야인 자율주행로봇(AMR) 기술은 무인항공기(UAV) 역량 개선에 사용될 수 있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일례로 UAV에 인공신경망 기술을 접목하면 주변 환경에 대한 탐지력이 크게 향상되는데, 여기에 UAV 소형화 기술까지 완성해낸다면 한국의 레이더 감지가 어려워진다는 설명이다.

더 큰 문제는 북한과 같은 핵보유국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대안으로 UAV와 무인잠수정(UUV)에 핵탄두를 탑재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보고서는 다만 "북한의 경우 기술적 제약과 제재로 인해 가까운 미래에 UAV·UUV 탑재 기술을 개발할 가능성은 작다"고 진단했다. 사이버상의 수단을 통해 재정적 부분을 해소하더라도 대북 제재로 인해 기술 개발에 필요한 부품과 기술 수입이 여전히 어렵다는 것이다.

연합뉴스

일제 부품 포함된 것으로 지적된 북한 무인기
(서울=연합뉴스) 유엔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 패널은 2013∼2014년 삼척, 파주, 백령도에서 발견된 북한 무인기에 카메라와 엔진 등 일제 부품이 포함됐다고 지적했다. 사진은 2015년 패널 보고서. 2019.7.15 [유엔 대북제재위 보고서 캡처] photo@yna.co.kr



반면 한국에 대해서는 AI 기술의 무인체계 통합을 가능하게 하는 경제적, 기술적 기반을 갖췄다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특히 지난해 창설된 육군의 '드론봇 전투단'에 대해 북한 핵과 미사일 시설을 겨냥한 정찰이 가능하고 한반도 유사시 '벌떼 공격'이 가능해졌다고 언급하며 "실제 운용 역량에 따라 북한의 핵 억지력을 약화할 수 있는 역량을 갖췄다"고 평했다.

SIPRI가 핵보유국으로 판정한 국가는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 인도, 파키스탄, 이스라엘, 북한 등 9개국이다.

SIPRI는 지난 6월 발간한 연감 (SIPRI Yearbook 2019)에서 북한이 올해 현재 약 20∼30개의 핵탄두를 가진 것으로 추산했다.

minaryo@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