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담양군 2개 업체에 5년간 23억 수의계약…"특혜시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호남취재본부 김육봉 기자] 전남 담양군이 관급 자재를 발주하면서 특정 업체 2곳에 5년간 23억여 원의 일감을 몰아주면서 뒷말을 낳고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전체 발주 공사의 70% 이상을 수의계약으로 이들 업체와 체결해 특혜 의혹을 사고 있다.


4일 담양군에 따르면 군은 2015년 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전기 수배전반 및 계측 설비 시설 공사를 발주하면서 29억여 원의 수의계약을 체결했다.


수배전반은 발전소 등 외부에서 전기를 받아 다시 나눠 주는 전력시스템을 말한다. 배수펌프장을 비롯해 상하수도 설비, 대형건물 등 전반에 쓰이고 있다.


그런데 담양군은 총 공사발주 건수 20건 가운데 14건(70%)을 특정 2개 업체와 수의계약으로 체결해 특혜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금액으로 보더라도 이들 2개 업체에 23억여 원의 공사를 몰아줬다. 이는 전체 발주금액의 80%에 달한다.


이들 2곳의 업체가 계약한 금액은 한 건당 적게는 1억여 원에서 많게는 4억여 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자체의 일반 공사 수의계약의 경우 2000만 원이 상한 금액이다.


담양군은 지방계약법 시행령에 따라 ‘농어촌정비법에 따른 농공단지에 입주한 공장이 직접 생산하는 물품을 이들로부터 제조·구매하는 경우’는 수의계약이 가능하다는 근거를 들어 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문제는 전남지역에 이 같은 조건의 업체들은 40여 곳이 넘게 있지만, 이들 업체는 담양군 공사에 외면당해 왔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다수의 수의계약 대상기업들이 있는데도 유독 2개 업체에만 공사를 집중시켜, 담양군이 스스로 의혹을 자초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업체 관계자는 “같은 조건에 똑같이 사업을 하고 세금도 내고 있는데 어떤 업체는 수억 원의 수의계약을 체결해 주면서 다른 업체들에는 왜 한 건의 계약도 체결해주지 않는지 모르겠다”며 “이런 불공정 거래는 강력히 다스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업체 관계자도 “수년간 두 군데 업체에 수의계약을 몰아준 것은 담양군과 이들 업체 간에 결탁이 없으면 불가능하다”며 "투명하고 철저한 조사를 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담양군 관계자는 “지금까지 관내 업체를 우선으로 수의계약을 체결했다”며 “앞으로는 어느 정도는 공개 경쟁입찰을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호남취재본부 김육봉 기자 bong2910@hanmail.net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