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6 (목)

트럼프 부인한 '우크라 의혹 대가성' 최측근 멀베이니가 인정 후폭풍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CBS노컷뉴스 황명문 기자

노컷뉴스

믹 멀베이니 백악관 비서실장 대행(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믹 멀베이니 미국 백악관 비서실장 대행이 미국의 우크라이나 군사원조 보류 결정이 민주당에 대한 수사를 종용하기 위해 내려졌다고 밝히면서 파문이 일고 있다.

그동안 ‘우크라 의혹’에 대가성이 없었다고 부인해온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궁지에 몰리게 됐다.

워싱턴포스트(WP) 등 외신에 따르면, 멀베이니 대행은 17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취재진과 문답하던 중 "트럼프 대통령이 내게 과거에 DNC(민주당 전국위원회) 서버 관련 의혹을 언급했었느냐고? 물론이다. 의문의 여지가 없다"면서 "그것이 우리가 원조를 보류한 이유"라고 말했다.

DNC 의혹은 2016년 대선에 러시아가 개입했고 해킹된 DNC 컴퓨터의 서버가 우크라이나에 숨겨져 있다는 의혹이다.

WP는 이 의혹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당국에 조사를 요청하는 과정에서 미국의 군사원조가 보류됐음을 인정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멀베이니 대행은 자신의 발언이 대가성을 인정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우리는 외교정책에 있어 늘 그렇게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군사원조와 조사 사이 연관성을 백악관이 인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지적했고 CNN방송도 “충격적인 대가성 인정”이라고 전했다.

논란이 일자 멀베이니 대행은 "트럼프 대통령이 군사원조를 빌미로 민주당 관련 수사를 종용한 적은 전혀 없다"며 말을 바꾸며 황급히 수습에 나섰다.

이어 "DNC 서버 관련 문제가 원조 진행 상황에 영향을 미친 바는 일절 없다"고 대가성을 부인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가 (DNC) 서버를 건드리기 전에는 원조를 보류하라고 지시한 적이 없었다"며 "우리가 원조를 보류했던 이유는 단지 다른 국가들의 지원이 부족했던 점과 부패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그동안 트럼프 대통령은 탄핵조사를 촉발한 '우크라 의혹'과 관련해 아무런 대가성이 없었다고 주장해왔지만 최측근 멀베이니 대행의 이날 발언으로 심각한 타격을 받게 됐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