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수혁 주미대사 “지소미아 종료 전 美에 역할 촉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이수혁 주미대사


이수혁 신임 주미대사가 17일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이 종료되는 다음달 22일까지 미국에 한일 갈등과 관련해 건설적인 역할을 촉구하는 것이 단기적으로 중요한 대사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사는 오는 24일 부임을 앞두고 이날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한미 현안 중 가장 중점적으로 생각하는 것은 무엇이냐’는 질문에 “지소미아 문제는 시한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사는 “두 달 전 국회의원 자격으로 미국을 방문했을 때 국무부 고위 관료가 ‘중재는 어렵고 긍정적 역할을 해야 하지 않겠나’라는 입장을 밝혔다”며 “중재와 긍정적 역할 간 개념 차이가 있는지 모르겠지만 요즘에는 건설적 역할을 하겠다고 하고 지금도 그런 노력을 하고 있으니 (대사로 부임해) 미국이 노력을 하고 있는지 파악도 하고 독려도 할 것”이라고 했다.

이 대사는 정부의 지소미아 종료 결정으로 인한 한미 동맹의 균열 우려와 관련해 “한국에서 주한 미국대사도 만나고 주한미군사령관도 만났는데 기본적으로 한미 동맹에 대해 우려를 갖고 있지 않고 동맹은 굳건하다는 게 (그들의) 공식 입장”이라고 했다. 이어 “동맹도 요즘은 서로 리더십의 차이 등 때문에 이익이 딱 맞아떨어지지 않는 일들이 왕왕 발생하고 있고, 이는 자연스럽다고 봐야 한다”고 했다.

이 대사는 북핵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이 대사는 “저는 1991년 1차 북핵 위기부터 북핵 문제를 해 온 사람”이라며 “단순히 한국 정부의 훈령을 미국 정부에 전달하는 전령사 역할을 함과 동시에 (북핵 문제와 관련해) 한국 정부에 정책 대안도 활발하게 건의할 것”이라고 했다. 이 대사는 1991년 1차 북핵 위기 당시 남·북·미·중 4자 회담 구성과 진행 과정에 참여했고 2003년 첫 6자회담의 수석대표였다.

이 대사는 지난 8월 대사에 내정됐지만 62일이 지나서야 미국에서 아그레망(주재국 임명 동의)을 받은 바 있다. 이에 대해 이 대사는 “아그레망을 오래 기다렸다”면서도 “오래 걸렸다는 건 아니다. 내정되고 두 달 만에 나가는 건 정상”이라고 했다. 정부의 지소미아 종료 결정에 대한 미국의 불만으로 아그레망이 늦어진 것 아니냐는 일각의 관측에 대해서는 “지난달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경질되고 그 다음주 유엔총회가 열리는 등 미국 백악관과 국무부의 사정 때문에 2주가량 늦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중 무역 갈등과 관련해서는 “한국의 미래와 정책은 미중 관계가 결정한다고 본다. 대사관 내 미중 관계 연구 조직도 만들고 미국 내 중국 전문가도 만날 것”이라고 밝혔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