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6 (월)

"미래차 전략에 차량공유 넣어달라" 차업계 제안, 정부가 거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MaaS' 대책에서 빠져

차량공유 단면만 제시

"미래차 논의에 필수인데"

정부가 15일 발표한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전략에 차량공유서비스 구체안이 검토되다가 최종단계에서 축소·생략된 것으로 확인됐다. 차량공유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이 나올 경우 택시업계와의 마찰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2030년까지 중장기 미래차 대책을 내놓으면서 차량공유서비스의 단면만 보여준 것은 문제라고 전문가는 지적한다.

16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미래차 산업발전전략을 최종 조율하는 단계에서 'MaaS(Mobility as a service)'에 대한 내용을 제외했다. 자동차업계는 정부에 "MaaS에 대한 내용을 넣어달라"고 했지만, 정부는 이를 거절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앙일보

지난해 11월 싱가포르에서 전략적투자 계약을 체결한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오른쪽)과 그랩 앤서니 탄 그랩 설립자. [사진 블룸버그 뉴이코노미포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MaaS란 차량공유서비스가 진일보한 개념이다. 모든 교통수단이 통합되어 공유되는 서비스를 뜻한다. MaaS가 본격화되면 차량과 자전거, 대중교통이 스마트폰을 통해 하나로 통합되어 사용자가 언제든지 원하는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업계가 MaaS를 포함할 것을 요구한 것은 차량공유서비스가 고도화되고 있어서다. 미래차에서 MaaS는 뗄 수 없는 관계다.

맥킨지는 차량공유서비스가 2015년 300억 달러에서 2030년까지 1조5000억 달러(1780조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

정부는 다만 MaaS를 제외한 대신 해당 안에 자율주행택시·셔틀을 민간이 주도해 추진한다는 내용만 대책에 넣었다.

업계 관계자는 "해당 문건을 검토했을 때 MaaS에 대한 내용도 준비돼 있었지만 범위가 넓고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돼서 빠진 것"이라며 "이 내용을 다루면 택시업계와의 마찰이 예상되는데 겨우 봉합한 그 문제를 총선 전에 꺼내긴 힘들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차량공유서비스 도입과 관련해 택시업계와 마찰을 겪었다. 택시업계는 우버와 카카오택시 카풀서비스에 반발해 지난해부터 대규모 시위를 벌였고 일부 택시기사가 분신자살하기도 했다. 정부·여당이 타협안을 7월 내밀기까지 1년 넘게 반발했다.

고도화된 차량공유서비스 MaaS를 이번 대책에 포함하면 택시업계의 반발을 다시 겪을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업계는 MaaS를 미래차 논의에서 필수불가결하다고 본다.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현대차가 하고 싶어하는 것은 자율택시인데, 운전자가 없는 형태로 운영돼서 비용이 충분히 빠지고 남는다"며 "택시업계와의 마찰이 문제가 되긴 하겠지만 현대차도 해당 사업 모델을 고민하고 있고, 자율주행 쪽으로 구체화를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은 동남아시아 최대 차량공유서비스 기업 '그랩(Grab)'에 2억7500만달러(3200억원)를 투자하면서 미래차 산업 핵심인 차량공유서비스 사업에 뛰어들었다.

현대차 관계자는 "우리는 차량공유플랫폼 사업자가 되진 않겠지만 앞으로 차량공유서비스 시장이 커지는 만큼 지속해서 투자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효성 기자 kim.hyoseong@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