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대기업 총수일가 경영권 승계작업 활발…“승계율 33.1%”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웨이

사진=CEO스코어 제공


[뉴스웨이 강길홍 기자]대기업집단 총수일가의 주식자산 중 자녀세대의 보유 비율이 33.1%로 2년여 사이에 약 3.6%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59개 대기업집단 중 총수가 있는 51개 그룹의 총수일가 지분가치(10월10일 기준)를 조사한 결과 총 109조6163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자녀세대가 보유한 지분가치 비율은 33.1%(36조2833억원)로 2017년 말 29.6% 대비 3.55%포인트 상승했다.

대림은 자녀세대가 총수일가 지분의 99.9%를 보유해 자녀세대로의 주식자산 승계율이 가장 높았다.

태영 역시 98.2%로 거의 마무리 된 상태다. 또한 KCC(87.5%), 애경(85.1%), 효성(80.4%), 호반건설(77.1%), 현대백화점(76.9%), 두산(75.7%), 동원(73.5%), 롯데(70.7%), 한국테크놀로지그룹(65.9%), 중흥건설(65.1%), DB(60.9%), 한화(59.2%), 세아(57.0%), 금호석유화학(54.4%) 등도 총수일가 주식의 50% 이상을 자녀세대가 보유하고 있다.

반면 교보생명과 코오롱, 카카오, 이랜드, 셀트리온, 네이버, 넷마블, 한국투자금융 등 8곳은 자녀세대로의 승계가 아직은 없었다.

한라(0.4%)와 부영(2.3%), HDC(3.3%), SK(5.2%), 아모레퍼시픽(6.2%), 동국제강(7.0%), 다우키움(7.5%), 미래에셋(8.3%) 등은 자녀세대로의 승계가 10% 미만이었다.

재계 1,2위의 삼성과 현대자동차의 경우 이재용 부회장과 정의선 수석부회장이 모두 경영 전면에 나서고 있어 경영승계는 이뤄졌지만 지분가치는 50%에 못 미쳤다. 삼성과 현대차의 자녀세대 주식자산 비율은 각각 34.2%, 45.7%였다.

최근 2년여 새 자녀세대로의 주식자산 이전 작업이 가장 활발하게 진행된 곳은 OCI와 LG였다. OCI와 LG는 현재 자녀세대 주식자산 비율이 각각 46.1%, 48.0%로 50%에는 못 미치지만 약 2년 사이에 20%포인트 이상 상승했다. 이는 선대 회장의 작고 이후 자녀세대로의 승계가 빠르게 이뤄졌기 때문이다.

이밖에 현대중공업(16.51%p), 한화(13.35%p), 하림(12.59%p), 신세계(11.6%p) 등도 10%포인트 이상 상승했다.

강길홍 기자 slize@

저작권자(c)뉴스웨이(www.newsw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