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물속에서 사는 미세조류 땅 위에도 서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종=뉴스핌] 임은석 기자 = 일반적으로 물속에서 사는 미세조류 가운데 땅 위에서도 서식하는 미기록 종이 확인됐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기중 환경에 서식하는 미세조류를 탐색한 결과 국내 미기록 6종(남조류 4종, 녹조류 2종) 등 총 18종의 서식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뉴스핌

기중 조류 서식지 사진 [사진=국립생물자원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세조류는 물속 생물 중 엽록소를 가지고 있어 광합성을 하며 육안으로는 확인이 어려워 현미경을 이용해 관찰이 가능한 생물을 말한다.

기중 환경은 공기 중에 노출되어 생물의 수분 공급이 극도로 제한되는 곳으로 이런 환경에 서식하는 미세조류는 담수, 기수, 해수 등 수계에 서식하는 조류와 비교할 때, 매우 건조한 환경에 적응한 것이다.

이번 연구로 확보된 기중 남조류는 벽돌담이나 보도블록의 사이에서 발견되었고, 기중 녹조류의 경우에는 주로 토양과 인접한 나무나 바위 표면에서 관찰됐다.

이번 '자생 조류 조사·발굴 연구' 사업에 참여한 이옥민 경기대 교수진은 기중 환경에 서식하는 미세조류를 집중적으로 탐색하고 분류해 왔다.

남조류는 구형의 시아노살시나, 이형세포를 형성하는 구슬말과 톨리포트릭스, 사상체를 형성하는 마이크로콜레우스와 포미디움, 다른 조류의 표면에 붙어 서식하는 시아노파논 등 형태와 서식 특성이 다양했다.

미기록 녹조류인 '스티코코쿠스' 2종은 원통형의 세포를 가지고 세포의 길이는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폭은 평균적으로 4㎛ 이하로 작았다.

이번 연구로 찾은 남조류 '윌모티아 머레이'와 '시아노파논 미라빌'은 국내에 처음 보고되는 속(genus)이다.

국내 미기록종인 '시아노파논 미라빌'과 '시아노살시나 크루코이데스'는 지난해 9월 환경생물학회지에 발표됐고 '월모티아 머레이'는 올해 10월 게재될 예정이다. 연구진은 기중 서식지의 시료를 지속해서 확보하고 분류학적 연구를 진행해 미세조류 발굴을 확대할 계획이다.

배연재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이번 성과는 생물종의 또 하나의 서식처로서 기중 환경을 개척한 데 의미가 있다"며 "이를 계기로 특이서식지 생물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새로운 종을 발굴하겠다"고 밝혔다.

fedor01@newspim.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