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라임자산운용, 사모펀드 추가 환매 연기… 위기감 증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차 38개 2400억원 규모 / “1·2차 8400억 규모 환매중단 / 최대 1조3000억원대 추산” / DLF 대규모 손실사태 이어 / 자본시장 ‘시한폭탄’ 될 우려 / 당국, 전반적 실태조사 착수

유동성 문제로 사모펀드 환매를 중단한 라임자산운용이 2차 환매연기에 나섰다. 투자자에게 원금과 이자를 돌려주기까지 길게는 5년 가까이 걸릴 전망이다. 사모펀드발 ‘시한폭탄’이 또 터질지 모른다는 위기감이 확산하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사모펀드 시장의 전반적인 실태 조사에 착수했다.

세계일보

원종준 라임자산운용 대표이사가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제금융센터(IFC)에서 펀드 환매 연기 사태 관련 기자 간담회에서 펀드 환매 연기 사태를 설명하고 있다. 뉴스1


원종준 라임자산운용 대표이사는 14일 서울 여의도 국제금융센터(IFC)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금까지 누적 8466억원 규모의 사모펀드 환매가 중단됐다”며 환매 차질을 빚은 펀드 금액이 1조1539억원에서 최대 1조3363억원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환매 중단 금액은 지난 10일 사모채권과 메자닌(중위험 상품)에 투자하는 펀드 55개, 6030억원 규모다. 이날 2차로 환매 중단한 펀드는 무역금융 자펀드 38개로, 2436억원 규모다. 이에 더해 만기 시 상환금 일부가 지급 연기될 가능성이 있는 펀드는 56개이며 잔여 금액은 4897억원이다.

라임자산운용은 무역금융 관련 펀드의 60%가량은 2년8개월 이후, 나머지는 4년8개월 이후 상환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다른 펀드는 내년 말까지 70% 정도 상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회사 측은 평균 금리 9%를 목표로 원금과 이자를 지킬 수 있을 것이라면서 투자자들에게 양해를 구했다.

원 대표는 “고객 피해 최소화를 가장 큰 목표로 합리적인 가격 범위에서 자산을 최대한 신속히 회수하도록 노력하고 이런 일이 재발되지 않도록 철저히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대규모 펀드 환매 차질은 최근 코스닥시장 약세로 전환사채(CB)나 신주인수권부사채(BW) 같은 메자닌 자산을 주식으로 전환해 현금화하는 게 어려워지는 등 유동성에 문제가 생겨 빚어졌다. 여기에 사모채권에 투자한 대체투자 펀드와 해외 무역금융펀드에서도 유동성 문제가 겹쳤다. 2012년 투자자문사로 시작해 2015년 사모펀드 운용사로 전환한 라임자산운용은 올해 7월 운용자산 6조원을 돌파하며 국내 1위 헤지펀드 운용사로 성장했다.

최근 사모펀드 형태로 판매한 해외금리 연계형 파생결합펀드(DLF)의 대규모 손실 사태와 라임자산운용의 환매 중단이 잇따르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이에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이날 “라임자산운용 외에도 사모펀드를 모두 살펴볼 것”이라며 “(사모펀드 사태가) 금융시장에 영향을 줬는지, 시스템에 리스크를 줬는지 현재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세계일보

2015년 정부가 사모펀드 운용사 진입요건과 투자 최소금액을 낮추는 등의 활성화 방안을 발표한 뒤 사모펀드 시장은 급성장했다. 2015년 사모펀드 설정액은 200조원으로 공모펀드(221조원)보다 적었지만 이듬해 사모펀드(250조원)가 공모펀드(220조원)를 역전했다. 지난 10일 기준 사모펀드 설정액은 396조원으로 2015년에 비해 2배 가까이 성장했다.

세계일보

비교적 고수익을 추구하는 사모펀드의 성격이 저금리시대에 조금이라도 더 수익을 내고 싶은 투자자들의 욕구와 맞물리면서 시중자금이 대거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사모펀드는 공모펀드보다 규제를 덜 받는 만큼 투자 위험성도 그만큼 높다. 다만 금융당국은 이번 사태가 사모펀드 전반에 대한 위험으로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는 지나치다고 판단하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라임자산운용은 모펀드의 유동성 확보 차원에서 문제가 불거졌다는 특수성이 있다”며 “다른 운용사들은 펀드들이 독립적으로 운용되고 있기 때문에 시장에 여파를 미친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백소용 기자 swinia@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