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5 (토)

힘받은 시진핑…"中 분열기도땐 가루로 만들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중 무역전쟁과 홍콩 시위 사태로 리더십 시험대에 올랐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최근 흔들렸던 정치적 입지를 빠르게 다지면서 국정 주도권을 강화하려는 행보를 걷고 있다. 지난 1일 중국 건국 70주년을 맞아 주요 2개국(G2) 반열에 오른 경제 성과와 강군 이미지를 한껏 과시한 시 주석은 최근 미국과 무역협상에서 '미니딜'을 이끌어낸 데 이어 해외 순방을 통해 자신의 숙원 사업인 일대일로(육·해상 실크로드) 협력 강화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또 그동안 수세적 위치에서 홍콩 시위 사태를 지켜봤던 시 주석은 지난 13일 네팔과의 정상회담에서 홍콩을 겨냥해 "분열을 기도하면 분신쇄골(몸이 부서지고 뼈는 가루가 된다) 결과를 맞게 될 것"이라는 강력한 경고 메시지도 던졌다. 대내외 위험 변수를 다소 추스른 시 주석은 이달 열릴 제19기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4중전회)에서 '사회주의 현대화 강국 비전'과 당에 대한 절대 충성을 강조하며 내부 기강을 다질 것으로 예상된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공산당은 이달 베이징에서 4중전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구체적 일정은 공개되지 않았다. 그동안 관행을 살펴보면 4중전회에서는 국가 통치 시스템을 점검하고 공산당 발전 방향을 중점적으로 논의해왔다. 신화통신은 "중국 특색인 사회주의 제도를 보다 완전하게 정비하고 국가 통치 시스템의 현대화 방향을 정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4중전회에 앞서 시 주석은 미·중 무역전쟁과 홍콩 시위 사태라는 두 가지 큰 난제를 안고 있었다. 공산당의 당초 목표는 중국 건국 70주년 국경절(10월 1일) 전까지 두 불안 요인을 제거하는 것이었다.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중국 경제 곳곳에 경고음이 감지되고 반중(反中) 홍콩 시위가 날로 고조되면서 중국몽(中國夢) 비전을 재차 강조하려던 계획에 차질을 빚지 않을까 염려했기 때문이다. 또 대내외 위기가 지속되면 중국 공산당 안팎으로 불만이 커져 4중전회가 중국 지도부에 대한 책임을 묻는 자리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면서 시 주석을 둘러싸고 정치적 부담이 커진 상황이었다.

하지만 시 주석은 두 가지 불확실성을 어느 정도 해소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우선 지난 11일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에서 부분 합의를 의미하는 미니딜을 도출하며 미국과의 무역갈등을 일단 휴전으로 봉합하는 데 성공했다. 홍콩 시위 사태에 대해서는 홍콩 시위대를 겨냥해 경고 메시지를 던지면서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시 주석은 13일 카드가 프라사드 올리 네팔 총리와 만난 자리에서 "중국 어떤 지역에서든 분열을 기도하는 자는 몸이 부서지고 뼈는 가루가 되는 결과를 맞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경절인 1일이 지난 이후 중국은 홍콩 시위에 대해 강경한 입장으로 돌아섰다. 중국 당국은 홍콩을 지지하는 서방 국가에 대해서도 연일 "내정간섭을 중단하라"며 경고하고 있다. 이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간) "그것(홍콩 상황)은 자연히 해결될 것(take care of itself)이라고 생각한다"며 사실상 미국이 홍콩 이슈에 관여하지 않을 것이란 뉘앙스로 발언하기도 했다. 시 주석의 이목은 이제 공산당 내부 기강을 다지는 작업과 경기 부양을 통한 민심 관리에 쏠려 있다. 이달 4중전회를 앞두고 중국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중국특색사회주의' 사상 교육이 강화되고 있다. 10일 시안 경제개발구에서는 '중국 공산당원의 초심과 사명'이라는 주제로 좌담회가 열렸고, 이와 유사한 성격의 행사들이 지난달부터 본격적으로 중국 주요 도시에서 지방정부 주최로 개최되고 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4중전회를 앞두고 시 주석의 리더십 강화 작업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번 4중전회에서는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하방 압력을 받고 있는 중국 경제를 부양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베이징 = 김대기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