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전국 189개 학교서 친일파 이흥렬·김성태 만든 교가 사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종=뉴스핌] 김홍군 기자 = 전국의 일선 학교에서 이흥렬, 김성태, 김동진 등 친일 음악가들이 만든 교가를 여전히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국회 교육위원회 이찬열 의원(바른미래당)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189개교가 친일행적이 확인된 작사·작곡가의 교가를 사용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충남이 31개교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으며, 경북 30개교, 전북 25개교, 충북 23개교, 전남 18개교, 부산 16개교, 광주 13개교, 강원 10개교, 대구·경기 각 6개교, 경남 5개교, 대전 2개교, 울산 3개교, 서울 1개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세종, 제주, 인천은 친일파 교가를 사용하는 곳이 한 곳도 없었다.

친일 음악가들은 대부분 음악 활동을 통해 일본 제국주의를 찬양하거나 군국주의 야욕을 정당화 해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이들로, 이흥렬, 김성태, 김동진, 현제명, 이원수 등이 대표적이다.

이흥렬은 일제 강점기 말기 군국가요를 연주·반주·지휘하고, 친일 음악단체인 대화악단 단원으로 활동한 전력이 드러나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됐다.

김성태는 친일악단인 경성후생실내악단과 친일 음악가들의 최대 어용조직인 조선음악협회에서 활동했으며, 김동진은 만주작곡연구회 회원으로 만주국 건국 10주년 경축곡과 건국 10주년 찬가 지휘 등 만주국 건국을 찬양했다.

현제명은 식민통치와 침략전쟁 지지 가요를 작곡하고, 연주회 출연자 수익금을 침략전쟁을 위한 국방헌금에 헌납했다.

이찬열 의원은 “일선 학교들의 교내 친일 잔재 실태를 정확히 파악한 뒤, 학생, 교사, 학부모, 동문 등이 주체가 되어 청산을 위한 협의에 나서야 한다”며 “교육청 차원의 행·재정적 지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전국 시·도교육청은 대구교육청을 제외하고 일제 잔재청산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3·1운동 및 임시정부 100주년을 맞아 교내 친일 잔재를 파악하고 이를 시정하겠다는 목적이다.

kiluk@newspim.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