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2 (수)

[문희철의 졸음쉼터] 리튬이온배터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문희철 산업1팀 기자


“리튬이온배터리를 전기차에 활용하면 환경 문제 해결에 이바지할 수 있습니다.” 9일(현지시각) 노벨화학상 수상자 중 한 명으로 선정된 요시노 아키라(吉野彰·71) 일본 아사히카세이 명예연구원이 현지 언론과 인터뷰에서 언급한 말입니다. 또 다른 노벨화학상 수상자(존 구디너프·스탠리 휘팅엄)가 개발·발전한 리튬이온배터리는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입니다. 자동차·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가 리튬이온배터리를 보편적으로 사용하면서 급기야 노벨상 수상자까지 배출했습니다.

전기차량의 리튬이온배터리를 충전하다 보면 가끔 공허한 마음도 이렇게 코드를 꼽아서 충전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떠오릅니다. 우리 마음의 배터리도 급격히 방전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자동차 배터리처럼 우리도 충전이 필요합니다. 기계적으로 생각하면 사람도 일종의 거대한 배터리입니다. 음식·수면으로 충전·저장한 에너지를 움직이거나 일하면서 소모합니다. 때론 뜻한 바가 이뤄지지 않아서, 때론 업무 부담 때문에 에너지 잔량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살다 보면 마음이 통하는 충전기 같은 인연을 만납니다. 그렇지만 충전핀이 엇갈리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서로의 마음에 직류전기가 흐르고 있다고 느끼지만, 10개의 핀을 사용하는 사람은 7핀 방식을 사용하는 사람과 접속할 수 없습니다. 어렵사리 코드가 맞는 사람을 발견해도 충분한 시간과 노력, 애정을 쏟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인연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요즘처럼 방전되기 쉬운 서늘한 가을이 오면 누군가의 가슴에 코드를 꼽고 엔진에 시동을 걸어보고 싶습니다. DC콤보형 급속충전기는 완전방전상태인 전기차를 30분 만에 완전히 충전할 수 있습니다. 불과 30분 만에 누군가의 음극에 저장해두었던 리튬 이온이 내 마음의 양극으로 흘러들어와 전류가 발생한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이번엔 마음의 전자가 이동하기를 기대하면서 다시 한번 충전모듈에 배터리 단자를 꼽아봅니다.

문희철 산업1팀 기자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