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일본 환경상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바다에 방출할 수 밖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각료가 나서 공개 의견 파장 예상

일본 정부 “결정 안돼…개인적 의견”

하라다 요시아키(原田義昭) 일본 환경상이 10일 후쿠시마 제1원전 내 방사성 오염수 처리와 관련해 “바다에 방출할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동안 일본 정부는 오염수 처리 방법에 대해 “정해진 것이 없다”는 입장이었는데 정부 각료가 나서서 공개 의견을 낸 만큼 파장이 예상된다.

지지통신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하라다 환경상은 이날 각의 후 기자회견에서 후쿠시마(福島) 원전 내 오염수 처리 문제에 대해 “(바다로) 방출해 희석하는 것 외에, 그다지 선택지가 없다” 고 말했다. 또 “원자력규제위원회 위원장도 ‘안전성, 과학성에서 보면 괜찮다’고 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바다 방출 시 예상되는 풍평피해(風評被害·소문으로 인한 피해)에 대해선 “정부가 모든 노력을 하는 것도 대단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국 등의 강한 반발에 대해선 “여러 의견이 나오겠지만, 확실히 과학에 근거해 성의를 다해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오염수 처리는 경제산업성 산하 소위원회에서 논의 중인 사안으로 환경성 관할은 아니다. 하라다 환경상은 11일 개각에서 교체가 거의 확실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발언도 재임 중 소회를 들려달라는 질문에 답하면서 나왔다. 그는 “정부 전체에서 신중하게 논의할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내 말은) 단순한 의견으로서 들어주기 바란다”고 선을 그었다.

일본 정부도 “하라다 환경상의 개인적 의견”이라고 말했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오후 기자회견에서 “경제산업성 소위원회에서 풍평피해 등을 포함해 종합적으로 검토 중”이라며 “현 시점에서 처분 방법을 결정한 사실은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환경정책을 책임진 각료의 언급인 만큼 파장은 작지 않다. “오염수 처리 방안은 논의 중”이라는 입장을 유지해 온 일본 정부가 실제 해양방출 방안을 공식화하기 앞서 예고편으로 내놨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일본 정부가 검토 중인 5가지 방안 중 해양방출이 비용이 가장 적게 드는 안으로 꼽혀왔다.

후쿠시마 제1원전은 2011년 3월 동일본대지진 당시 폭발사고로 가동 중단됐으나, 외부에서 흘러 들어가는 지하수와 핵연료를 식히는 냉각수로 인해 매일 170t의 방사성 오염수가 생기고 있다. 도쿄전력은 방사성 물질을 희석 처리한 뒤 원전 부지 내 물탱크에 저장해두고 있다.

일본 정부는 정화시설에서 오염수를 정화했다며 ‘처리수’로 부르고 있지만, 정화한 물에도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트라이튬)가 남아 있다. 오는 2022년 여름쯤 이 탱크가 포화상태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지난 8월 나온 바 있다.

도쿄=윤설영 특파원 snow0@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