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오신환, 추석 전 손학규 '사퇴' 요구…"전대·비대위 가능"(종합)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당헌·당규상 탄핵 어려워…추석 전까지 실천 방안 제시"

"보수통합, 나경원 '희망 사항'…자강해 국민 신뢰 회복"

뉴스1

오신환 바른미래당 원내대표가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19.8.22/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정률 기자,이형진 기자 = 오신환 바른미래당 원내대표가 손학규 대표에게 추석 전 사퇴를 요구했다. 사퇴 이후 당의 구성 방식에 대해서는 조기 전당대회 혹은 비상대책위원회 구성 가능성을 언급했다.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제기한 보수대통합론에 대해서는 나 원내대표의 개인적 희망사항이라고 일축하는 등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으며 자강을 강조했다.

오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늦어도 추석 전까지 무너진 리더십을 회복하고 지도체제를 정비해야 한다"며 "바른미래당이 혁신과 화합, 자강을 통해 내년 총선 제1야당으로 우뚝 설 수 있도록 손 대표께서 살신성인의 자세로 용퇴의 결단을 내려주실 것을 다시 한 번 간곡히 호소한다"고 밝혔다.

그는 기자회견 직후 질의응답에서 "당헌·당규상 탄핵과 같이 손 대표를 강제로 끌어내릴 방법은 없다"며 "오늘 호소한 바와 같이 손 대표가 정치적으로 큰 결단을 내려주기를 다시 한번 호소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당내 호남 중진 의원까지도 지금 같은 상태로 (내년 총선은) 어렵지 않냐는 의견을 가지고 있다"며 "추석까지 상황을 지켜보고 (손 대표 퇴진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방안 제시하겠다"고 설명했다.

오 원내대표는 손 대표 체제 이후 당 운영 방식에 대해 "조기 전당대회와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으로 전환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며 "그런 의견을 모으는 과정에 있다. 의견이 모이면 다시 한번 손 대표에게 간곡하게 요청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손 대표가 추석 전까지 10%대 지지율을 얻지 못하면 자진사퇴하겠다고 한 것과 관련해선 "정치인으로서 본인의 발언에 책임지는 게 마땅하다"며 "이런저런 발언 과정에서 그것을 번복하려는 뉘앙스를 풍기고 있다. 당 대표로서, 공인으로서 한 말씀이기 때문에 지켜보겠다"고 밝혔다.

그는 유승민-안철수 전 대표의 역할론과 관련, "당장 두 분이 나서서 당을 이끌라는 것이 대다수의 목소리는 아니다"며 "우리가 창당 정신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했기 때문에 마지막으로 구현하는 게 내년 총선을 돌파하는 것이다. 그 속에서 두 분이 전면에 나설지, 아니면 다른 방식으로 창당 정신을 구현할지는 당사자 및 당 구성원과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 원내대표는 나경원 한국당 원내대표가 꺼내 든 보수통합론에 대해서는 "나 원내대표의 희망사항으로 바른미래당 누구와 의논을 했거나 통화조차 한 적이 없다"며 "바른미래당은 의원총회에서 결의한 바와 같이 스스로 자강하고 화합하고 혁신해 국민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운영과 관련해선 "(선거법 관련) 정개특위 표결은 동의하지 않는다. 최대한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며 "하지만 민주당은 표결 강행 입장을 고수하고, 한국당은 입장 전환 없이 무조건 시간 끌기를 하는 것은 유감"이라고 밝혔다.

오 원내대표는 "저는 한달이라도 정개특위를 연장하고 한국당이 입장을 정해 협의체 구성에 전향적으로 나오는지 판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불가피하게 표결을 강행해야 한다면 다음 달 1일에 특위를 연장하면서 당일에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정개특위 바른미래당 간사인 김성식 의원이 표결 강행 입장을 밝힌 것과 관련, "정개특위 간사로서 본인의 입장을 고수해 왔기 때문에 저와 생각이 다르지만 오늘 정개특위가 표결 강행을 하지 않을 것으로 믿고 있다"며 "김 의원의 사보임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jrkim@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