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9 (목)

[오래 전 '이날']7월20일 10대들의 은어, 얼마나 아세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959년부터 2009년까지 10년마다 경향신문의 같은 날 보도를 살펴보는 코너입니다. 매일 업데이트합니다.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999년 7월20일 그시절 10대들의 은어, 지금은?

예나 지금이나 10대들의 언어는 어렵습니다. 한동안은 ‘외계어’라 불렀지만, 최근 몇 년 사이에는 ‘급식체’라고도 부릅니다. 학교에서 급식을 먹는 10대들의 언어라는 뜻이죠.

20년 전 오늘 경향신문은 당시 10대들 사이에 유행하던 언어들을 소개했습니다. 지금은 30대가 되었을 그 시절 10대들의 언어, 얼마나 기억하는지 확인해보실까요?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당근이지(당연하지), 쟈철(지하철), 담탱이(담임선생님)…. 생각보다 익숙한 단어가 많습니다. 당시만 해도 10대만 쓰던 은어였지만, 이후 신문기사나 인터넷을 통해 다른 세대에도 많이 퍼졌기 때문이겠죠.

날범생(공부도 잘하고 놀기도 잘하는 학생), 짱(보스), 총잡이(주유원), 얼큰이(얼굴 큰 아이)에서 익살이 엿보였다면 담탱이(담임선생님), 변또(변함없는 또라이), 빵(기념식), 빽(선배), 좁밥(인기없는 연예인), 원빵(패싸움), 콩(성관계), 깔(이성친구), 새끈하다(예쁘다), 생까다(무시하다), 뽀대기(본드)는 조금 거칠었습니다. 당시 한 연구논문에는 “학생 은어 형성요인이 성적 호기심, 적대적 경쟁심, 이기심 등으로 급격히 변질되고 있다”는 진단도 나왔다고 합니다.

PC통신과 휴대폰, 삐삐(호출기) 때문에 축약형 언어도 많이 생겼는데요. 어솨요(어서 오세요), 방가(반가워요), 안냐세요(안녕하세요) 등이었습니다. 짱이야(최고야), 까리하다(괜찮게 생겼다), 귀없다(귀엽다), 색히(새끼), 쏠탱(미안) 등도 있었고요. 125(이리와), 0124(영원히 사랑해), 091012(공부 열심히), 1010235(열렬히 사모해) 등 숫자를 이용한 문자도 유행했습니다.

경향신문

1999년 7월20일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요즘 10대들이 쓰는 말은 어떤가요? 급식체로 불리는 말 중 대표적인 것은 ㄱㅇㄷ(개이득), ㅎㄲㅈ(핵꿀잼), ㅇㄱㄹㅇ(이거레알?)처럼 초성만 쓰는 단어입니다. 비슷하게 보이는 초성 중성을 바꿔치기한 ‘야민정음’은 난도가 한단계 더 높습니다. 댕댕이(멍멍이), 띵곡(명곡), 커엽다(귀엽다), 괄도네넴띤(팔도비빔면) 등이 대표적입니다. 카카오톡을 즐겨쓰다 보니 줄임말도 유행인데요. 갑툭튀(갑자기 툭 튀어나오다), 안물안궁(안 물어봤다, 안 궁금하다) 등은 10대만 아니라 20대도 쓰는 말입니다.

왜 유독 10대들이 은어에 열광할까요? 기사에 따르면 “자신들만의 비밀스러운 문화세계를 만끽하고, 기성세대들을 따돌리는 일종의 쾌감을 느끼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또 은어를 통해 현실에 대한 욕구불만을 발산하고 또래집단의 결속력을 다지기도 했죠. 모르면 친구들 사이에서 따돌림을 당하기도 쉽고요.

10대들은 부모나 선생님과는 표준어를 쓰지만 친구들끼리는 ‘그들만의 언어’로 소통합니다. 하지만 그들만의 언어에 너무 익숙해지다 실제 맞춤법을 헷갈리는 학생들이 많다고 합니다. 어의없다(어이없다), 문안하다(무난하다) 같은 표현이 대표적입니다.

20년 전 국어학자들은 이런 은어들이 “고유의 언어질서를 파괴하고 혼란을 가중시킬 것”이라며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하지만 일선 교사나 교육·언어 전문가들은 대체로 “일종의 통과의례”라며 “20대에 접어들면 스스로 용도폐기할 것”이라고 말했다네요. 요즘 상황을 보면 20대가 되면 또 새로운 은어를 사용하는 것 같지만요.

기사는 은어의 세계가 어쩌면 과도한 학력경쟁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10대들에게는 일종의 탈출구 역할을 하는 부분도 있다고 진단합니다. 20년 전보다 스트레스가 커졌으면 커졌지 줄어들었을 리는 없습니다. 10대들의 말(言)이 진정한 해방으로 인도해주는 말(馬)이 된다면 좋겠네요.

임소정 기자 sowhat@kyunghyang.com

최신 뉴스두고 두고 읽는 뉴스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