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7 (월)

민노총 "노동자 짓밟혔다" 외쳤지만…정작 완성차 노조는 불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예상보다 힘빠진 총파업
최저임금 삭감·탄력근로제 확대
정부 정책 역주행 비판했지만 참가 인원 적고 여론도 싸늘


파이낸셜뉴스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1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노동개악 저지, 노동기본권 쟁취, 비정규직 철폐, 재벌 개혁, 최저임금 1만원 폐기 규탄, 노동 탄압 분쇄 등 6개 구호를 내걸고 총파업 대회를 열고 있다. 사진=박범준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최저임금 1만원 폐기 규탄·비정규직 철폐 등을 요구하는 총파업 대회를 18일 실시했다.

탄력근로제 확대와 최저임금 1만원 공약 파기 등을 둘러싸고 정부와 노동계 사이 골이 깊어진 가운데 집회 참가자들은 정부 정책을 비판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서울 외에도 전북, 광주, 전남,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제주 등 전국에서 동시에 집회 신고를 했다.

민주노총에 따르면 서울 국회 앞 집회에는 약 7000명, 나머지 울산·경남·부산 등 지역 집회에는 총 1만 5000여명이 참여했다. 파업에 참가한 인원을 민주노총 확대간부와 가맹조직 파업(금속노조 103개 사업장 3만 7000명 포함) 등 총 5만 명으로 집계됐다고 민주노총은 전했다.

■"정부의 들러리 설 생각 없다"

민주노총은 이날 오후 2시 국회 앞에서 '노동개악 저지, 노동기본권 쟁취, 비정규직 철폐, 재벌개혁, 최저임금 1만원 폐기 규탄, 노동탄압 분쇄를 위한 민주노총 수도권 총파업 대회'를 열었다. 이날 민주노총은 노정관계의 전면적인 단절을 경고하며 현 정부에 대한 날선 비판을 펼쳤다.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은 대회사를 통해 "문재인 정부의 정책에 저항하고 비판하는 민주노총은 탄압으로 짓밟히고 있다"며 "문재인 정부 출범 이래, 논쟁적인 정책은 해결되는 것 하나 없이 역주행을 거듭했다"고 밝혔다. 이어 "저임금 문제는 사실상 최저임금 삭감으로 박살냈고, 장시간 노동 문제는 탄력근로제로 망쳐버리려 한다"며 "노동기본권 보장을 위한 ILO(국제노동기구) 핵심협약 비준을 얘기했더니 노조파괴법을 들고나오고, 비정규직 철폐 말했더니 자회사 전적 안 한다고 1500명을 대량 살상하고, 재벌을 바꾸랬더니 최저임금 제도를 바꾸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민주노총은 정부의 그럴싸한 모양새 갖추기에 들러리 설 생각이 없다"며 "이후에 민주노총의 모든 사업 방향은 문재인 정부의 기만적인 노동정책 폭로와 투쟁일 것이고 노정관계는 전면적 단절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최준식 공공운송노조 위원장도 투쟁사를 통해 "노동시간 단축, 최저임금 인상, 비정규직 정규직화, ILO 핵심협약 비준은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자 국민과 한 약속이었다"며 "그러나 최저임금 인상은 삭감이고, 노동시간 단축이 아니라 탄력근로 확대를 통해 힘없는 노동자들의 노동시간을 살인적으로 몰아가고 있다. 우리의 요구는 내팽개쳐졌고, 대통령의 약속은 거짓이라는 것이 판명났다"고 했다.

■"5만명 참가" vs. "1만2천명"

민주노총 관계자는 "오늘 수도권대회 참가 인원은 당초 예상 5000명에서 7000명으로 크게 늘었다"며 "정부와 국회 행태에 대한 조합원의 분노가 느껴진다"고 전했다.

민주노총은 전국적으로 총파업에 참가하는 규모를 5만여명으로 추산했으나 고용노동부는 50여개 사업장 소속 1만2000여명으로 파악했다. 이들 대부분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등 금속노조 소속으로 알려졌다. 특히 금속노조 최대 조직인 현대차(5만2000여명)를 비롯해 기아차, 한국GM, 쌍용차 등 완성차 업체들이 파업에는 불참함에 따라 파업 동력 자체는 약화된 것으로 보인다.

민주노총은 국회 앞에서 진행한 수도권 총파업 대회를 종료한 뒤 더불어민주당 당사 방향으로 행진을 시도했으며 국회 앞 폴리스 라인 내에서 경찰과 대치했다. 경찰은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국회 주변 경비를 강화하고 집회 장소 근처에 약 1만명의 경력을 배치했다.

gloriakim@fnnews.com 김문희 기자 김대현 박광환 인턴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