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2 (수)

韓조선업계, 두 달 연속 中제치고 수주량 1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상반기 누계 발주량 감소

LNG선, S-Max 유조선 발주세는 지속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기하영 기자]국내 조선업계가 두 달 연속 중국을 제치고 전 세계 선박 수주량 1위에 올랐다. 상반기 누적으론 중국에 뒤졌지만 지난 4월 18%p까지 벌어졌던 격차를 11%p까지 좁혔다.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6월 전 세계 선박 발주량 66만CGT(18척) 중 한국이 절반(34만CGT, 6척)을 수주하며 지난달에 이어 두 달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중국이 24만CGT(7척)을 수주하며 2위를, 일본이 9만CGT(5척)를 수주하며 그 뒤를 이었다.


다만 올해 1~6월 누계 수주 실적은 중국이 432만CGT(176척)로 42%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317만CGT(69척)를 수주해 점유율 31%로 2위를, 이탈리아가 111만CGT(14척)를 수주해 점유율 11%로 3위를 기록했다. 일본 110만CGT(62척)를 수주해 이탈리아와 근소한 차이로 4위를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선박 발주량은 세계경기 둔화와 미·중 무역분쟁 등 여러 가지 불안요인들 때문에 주춤했다. 올해 1~6월 누계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1026만CGT로 전년 대비 42% 줄어들었다. 최근 3년간 1~6월 누계 선박 발주량은 2017년 1177만CGT, 2018년 1779만CGT, 올해 1026만CGT였다. 6월 전 세계 발주량 역시 지난달 112만CGT(37척)에 비해 41% 감소했다.


올해 누계 발주량을 선종별로 살펴보면 S-Max급 유조선은 지난해보다 3배 가까이 발주가 증가 했고, 대형 LNG선(14만㎥ 이상)도 발주세를 이어갔다. 다만 초대형유조선(VLCC), 컨테이너선(1만2000TEU급 이상)과 벌크선 등의 발주량은 각각 전년대비 72%, 50%, 56% 감소하며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올해 6월말 기준 전 세계 수주잔량은 5월말 대비 164만CGT 감소한 7889만CGT를 기록했다. 국가별로는 중국 72만CGT, 일본 37만CGT, 한국 35만CGT 순으로 모두 감소했다. 다만 지난해와 비교해보면 중국과 일본이 각각 8%, 26% 감소한 반면, 한국은 10% 증가하며 일감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수주잔량은 중국 2870만CGT(36%)에 이어, 한국 2062만CGT(26%), 일본 1405만CGT(18%) 순이다.


6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지난달과 같은 131 포인트를 기록했다. 선종별로 살펴보면 LNG선과 컨테이너선(1만3000~1만4000TEU)은 가격 변동 없이 각각 1억 8550만 달러와 1억1150만 달러를 나타냈다. 유조선(VLCC)은 50만 달러 떨어진 9250만 달러를 기록했다.



기하영 기자 hyki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