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젊은 층 두개골서 '뿔 모양' 뼈 돌출현상?”…美서 연구결과 진위논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호주 선샤인코스트대학연구진이 공개한 연구 결과. 28세 청년의 두개골 엑스레이(왼쪽)와 58세 중년의 엑스레이. 위는 튀어나온 부분이 2.78㎝인 데 반해 아래는 2.45㎝로 더 짧다 [사이언티픽리포츠 홈페이지 캡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등 첨단기기를 많이 이용하는 젊은 층의 두개골에 변형이 일어나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두고 미국에서 진위 논란이 일고 있다. 논문이 게재됐을 때부터 연구 방법의 타당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이어진 가운데 논문의 주저자 중 한 명이 자세교정 베개를 판매하는 벤처사업과 연관되었다는 사실도 문제가 됐다. 논란이 일자 논문을 게재한 저널은 재검토에 나섰다.

25일(현지시간) 미 공영방송 PBS는 워싱턴포스트(WP)의 20일 보도를 지목하며 '스마트폰은 뿔을 자라게 하지 않는다. 나쁜 연구를 알아내는 법'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했다.

PBS가 언급한 WP 보도에는 호주 퀸즐랜드주 선샤인코스트 대학 연구진이 작성한 논문 내용이 담겼다. 연구진은 젊은 층에서 두개골 뒷부분 뼈가 자라나 융기하는 외후두융기(EOP·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 현상이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19세기 후반만 해도 희귀한 사례였던 이 현상이 최근들어 늘어나고 있다"며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며 장시간 고개를 숙이는 현대인의 습관이 원인으로 보인다"고 했다.

PBS에 따르면 해당 기사가 보도된 뒤 일각에서는 해당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두고 논란이 일었다. 이에 논문을 게재한 과학저널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이 해당 논문을 재검토하고 있다고 PBS는 전했다. 사이언티픽 리포츠의 대변인은 "이 논문과 관련한 문제들을 살피고 있으며, 필요한 경우 조처를 할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연구 방법·결과 뒷받침할 자료 부족
전문가들은 이 연구 결과에 논리적 비약과 결함이 있음을 지적했다. 외후두융기와 스마트폰 등의 상관관계를 입증할 근거가 없다는 것이다. 존 호크스 고생물학자는 PBS에 "연구원들이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할 자료를 제공하지 않았다"며 논문에 보고된 숫자, 이미지, 기타 데이터를 증명할 자료가 아닌 서면으로만 주장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또 조사 대상자를 뽑는 과정에 대해서도 비판이 나오고 있다. 통상 이런 연구는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무작위로 뽑은 표본을 대상으로 진행하는데, 연구진은 그렇게 하지 않았는 것이다. 리자이나 누조 미국 통계학회 수석 고문은 연구진이 척추교정 전문의의 도움을 받은 사람들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며 무작위로 뽑힌 대표성 있는 표본이 아니라는 점에서 타당도와 신뢰도가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이밖에도 중증을 제외한 경증 환자만 표본으로 삼았고, 엑스레이 사진 촬영 조건이 연구 대상마다 차이가 있었다는 점도 문제로 거론됐다.

연구 방법과 결과에 대한 한계는 당초 논문이 게재됐을 때도 지적됐던 부분이다. WP에 따르면 예일대학 생리·뇌과학과 교수인 마이클 니타바흐는 이번 연구가 연구 참가자의 휴대전화 사용 행태가 고려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고 이미 지적했다. 휴대전화 사용과 두개골 형태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결론짓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것이다.

연구진, 베개 벤처사업 운영 중?
여기에 논문 주저자 중 한 명인 데이빗 샤하르 척추교정 전문의가 자세교정용 베개 등을 판매하는 벤처 기업을 운영하고 있다는 점도 문제가 됐다. 연구자와 논문 사이에 이해 관계가 얽혀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다.

이에 샤하르는 "지난 수년간 제품을 판매하는 데 관여하지 않았다. 논문에서도 어떤 특정한 치료법 등을 제안한 적이 없다"면서 "우리는 (연구) 결론을 바탕으로 어린 나이부터 자세 유지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특히 자신이 벤처사업을 운영한다는 것은 사전에 사이언티픽 리포츠에 알려졌던 내용으로 "이번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에 관한 것이 아니라 젊은 성인층에서 뼈 돌출 현상이 확산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을 뿐"이라고 강조했다.

이민정 기자 lee.minjung2@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