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에어부산, 국내 LCC 최초 정밀 접근 착륙절차 도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공위성 GPS 신호 활용..운항 안전성↑

기상으로 인한 항공기 결항 감소 효과

[이데일리 이소현 기자] 에어부산(298690)은 국내 저비용항공사(LCC) 최초로 고성능 탑재 장비를 기반으로 한 정밀 접근 착륙 절차(RNP-AR) 인가를 위한 규정 개정에 착수했다고 24일 밝혔다.

RNP-AR은 항공기에 탑재된 항법 장비를 인공위성 GPS 신호와 연동해 정밀한 접근과 착륙을 가능하게 하는 절차다. 기존에는 지상의 항행안전시설의 도움이 필수였다면 RNP-AR은 위성 기반 GPS 항법의 정확도를 함께 활용해 비행하는 최첨단 항법 절차다.

에어부산이 도입 예정인 RNP-AR 절차를 적용하면 GPS 정보를 활용하기 때문에 안개나 폭우 등 기상 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도 정밀한 착륙이 가능해진다. 이는 안전한 운항은 물론 기상 탓인 항공기 결항률도 감소시킬 수 있어 에어부산 이용객들의 편의가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또 항공기가 착륙하고자 하는 활주로 접근 경로에 장애물 또는 소음에 민감한 주거지역이 있을 때 이를 회피한 곡선 진입과 착륙을 할 수 있어 항로 단축을 통한 이산화탄소 배출 절감, 주거 지역 소음 줄이기 효과도 있다.

에어부산 관계자는 “이러한 장점으로 미국, 유럽 등 전 세계적으로 해당 절차를 도입하는 항공사가 증가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현재 국내에서는 고가의 항공기 탑재 장비와 운항승무원 훈련 등 많은 전제 조건이 필요해 대형 국적항공사의 일부 기종에서만 운용하고 있다.

에어부산은 먼저 해당 장비가 탑재된 5대의 항공기를 대상으로 RNP-AR 운항을 적용할 계획으로 앞으로 대상 항공기를 점차 늘려간다는 방침이다. 오는 10월까지 관련 규정 개정과 운항승무원 대상 교육·훈련을 완료한 후 국토부 승인을 거쳐 연내에 RNP-AR 운항을 할 예정이다.

한태근 에어부산 사장은 “안전 운항에 대한 세계적 추세에 선제로 대응해 더욱 완벽한 안전 가치를 확보하기 위해 국내 LCC 최초로 RNP-AR을 도입하기로 했다”라며 “안전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와 지속적인 신기술 도입을 통해 승객의 안전과 편의를 향상시켜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이데일리

에어부산 항공기(사진=에어부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