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르노삼성 임단협 잠정합의…'勞勞갈등'에 최종봉합 국면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르노삼성 노사 두 번째 잠정합의안 도출

노조 '전면파업 철회'에 즉각 재교섭 돌입

14일 노조 조합원 찬반투표 남아

[아시아경제 김지희 기자] 꼬박 1년이다. 2018년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을 둘러싼 르노삼성자동차 노사 갈등이 뜻밖의 노노 갈등을 맞아 최종 봉합 국면에 이르렀다. 강성 노조 집행부의 전면파업 결정에 노조가 힘을 실어주지 않고 사측의 거센 압박에 노조가 백기투항하면서다. 이에 르노삼성 노사는 임단협 마지막 교섭에서 2차 잠정 합의안을 도출했으며 조합원 찬반 투표만을 남겨둔 상태다.


13일 르노삼성에 따르면 노사는 전날 오후 9시께 지난해 임단협 잠정 합의안을 이끌어냈다. 이번 잠정 합의안은 지난달 1차 합의안과 기본 틀을 같이 한다. 양측은 ▲기본급 동결 ▲기본급 동결에 따른 보상금 100만원 및 중식대 보조금 3만5000원 인상 ▲성과급 976만원+기본급 50% 지급 등에 뜻을 모았다. 지난 합의안에 담긴 전환배치 절차 개선, 근무 강도 개선 방안도 함께 포함됐다. 이번 합의에 따라 근로자들은 1176만원가량을 일시금으로 지급받는다.


아시아경제

르노삼성 부산공장(사진=르노삼성)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 합의에서는 사측 요구를 반영한 '노사 상생 공동선언'이 추가로 채택된 점이 특징이다. 노사가 지역 경제 활성화와 협력 업체 동반성장을 위한 사회적 책임을 인식하고 르노삼성 고유의 협력적 노사문화 회복과 정착에 노력한다는 내용이다. 이를 위해 노사는 안정적 운영을 위한 '평화 기간'을 선포하기로 했다. 구체적 내용은 임단협 타결 이후 조인식을 통해 공개한다는 계획이다.


전날 오전까지만 하더라도 노사 갈등은 극으로 치닫는 모습이었다. 그러나 오후 들어 상황이 급변했다. 오후 3시30분을 기점으로 노조가 전면파업 철회를 선언하고 사측도 부분 직장폐쇄 철회로 화답하면서 곧바로 오후 6시부터 재교섭이 시작됐다. 3시간에 가까운 릴레이 교섭 끝에 두 번째 잠정합의안이 극적으로 도출됐다. 노조는 14일 2차 조합원 찬반 투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극적 합의의 배경에는 노조 구성원 간 불협화음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강성 노조 집행부에 대한 불만이 파업 불참으로 표출되면서 노조가 사실상 '백기'를 들었다는 분석이다. 노조 집행부가 파업이라는 강경 노선을 고집하는 사이 60%가 넘는 조합원들이 정상 출근하며 반대 의사를 표출했다. 부분 직장폐쇄 첫날인 지난 12일에는 노조 조합원 기준 파업 불참률이 66.2%까지 늘었다.


물론 잠정합의안이 지난 1차 합의안 때와 마찬가지로 찬반 투표의 벽에 막힐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다만 전면파업 과정에서 경영 정상화를 향한 노조 내부의 공감대가 확인된 만큼 가결에 대한 기대감이 우세하다. 지난번 찬반투표에서 1차 합의안은 절반이 조금 넘는 51.8%의 반대율로 부결됐다. 앞선 2014년, 2016~2017년 임단협 당시 노조가 1차 투표에서 부결된 합의안을 큰 수정 없이 2차 투표에서 통과시킨 전례가 있다는 점도 이 같은 전망을 뒷받침한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임단협을 둘러싼 노사 갈등이 봉합되더라도 르노삼성 앞에 놓인 과제는 '첩첩산중'이다. 무엇보다 일감 절벽 해결이 시급하다. 당장 수출 물량 확보가 비상이다. 닛산 로그의 위탁 생산이 종료된 이후 르노삼성의 수출을 이끌 후속 물량을 아직까지 배정받지 못한 데다 신차 'XM3'의 유럽 수출 물량 확보도 절실한 상황이다. 논란이 계속되는 사이 뚝 떨어진 내수 판매를 끌어올려야 하는 과제도 남아있다.


이미 파업 장기화로 르노삼성의 실적은 곤두박질쳤다. 올해 1~5월 르노삼성의 내수 판매는 2만8942대로 전년 동기 대비 14.4% 감소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7만대를 넘어섰던 수출 역시 절반 수준으로 쪼그라든 상태다.



김지희 기자 ways@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