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1 (화)

이슈 아프리카돼지열병 국내 상륙

북한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확인…당국 ‘긴장’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 “조만간 대북협의에 착수할 계획”



한겨레

북한의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병 사실이 확인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북한이 지난 30일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했음을 보고했다고 31일 밝혔다.

OIE 발표 자료를 보면, 북한의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건수는 1건으로, 이달 23일 자강도 우시군 소재 북상협동농장에서 신고돼 25일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 농장은 북한의 동북부 지역으로 중국 랴오닝성과 맞닿아 있다.

농장 내 사육 중인 돼지 99마리 중 77마리가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폐사하고, 22마리는 살처분됐다. 북한은 이후 이동제한, 봉쇄지역 및 보호지역 예찰, 사체·부산물·폐기물 처리, 살처분, 소독 등의 방역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31일 오전 8시 차관 주재로 긴급 상황점검회의를 열어 접경지역에 대한 방역상황을 재점검하고 차단방역에 필요한 조치를 논의했다. 이어 국방부, 환경부, 통일부 등과 관계기관 긴급회의를 열어 상황 공유 및 협력방안을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다음달 1일 멧돼지 등을 통한 아프리카돼지열병 유입 우려가 있는 임진강·한강 하구 지역을 방문해 접경지역 방역상황을 점검할 예정이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치사율이 100%에 이르고 예방 백신이 없는 데다 바이러스 생존력이 매우 높은 가축 질병이다. 과거 아프리카와 유럽에서만 발생하다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중국, 몽골, 베트남 등으로까지 확산했다. 이번에 북한 발병 사실이 확인되면서 국내 유입 가능성이 한층 커졌다.

이와 관련해 이유진 통일부 부대변인은 31일 정례 브리핑에서 “조만간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대북 협의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부대변인은 “아프리카돼지열병과 관련한 방역 협력 의사를 여러 차례 북쪽에 전달한 바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이 부대변인은 “정부는 북한 내 아프리카돼지열병의 확산 방지를 위한 남북 협력을 추진할 준비가 돼 있으며, 북쪽과 협의가 진행되는대로 구체적인 준비를 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북한 당국은 전날 세계동물보건기구에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사실을 공식 보고한 데 이어, <노동신문> 31일치에 “국제적 우려를 자아내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이라는 문패를 달아 이례적으로 관련 기사 3건을 실었다. <노동신문>은 “높은 발병률, 다양한 전파 경로”, “아직까지 찾지 못한 효과적인 방지 대책”, “심각한 후과”라는 제목의 관련 기사에서 중국·베트남 등에서 급속히 확산되고 있으며, 백신이 없다는 사실 등 관련 정보를 충실히 전했다. 하지만 북쪽 자강도에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했다는 사실은 전하지 않았다.

박기용·이제훈 기자 xeno@hani.co.kr

[▶네이버 메인에서 한겨레 받아보기]
[▶한겨레 정기구독] [▶영상 그 이상 ‘영상+’]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