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국민 60% “비혼 동거 차별은 안 되지만…자식 결혼상대는 NO”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여성가족부·여성정책연구원 가족 다양성 여론조사 결과

67%가 비혼 동거 수용하면서도 자식 결혼상대는 꺼려

국민 10명 중 7명, 혼인·혈연 아녀도 함께 먹고살면 가족

중앙일보

[사진 픽사베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민 10명 중 6명은 법적 결혼 이외의 동거 같은 혼인 형태에 대해 차별하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절반 이상은 비혼동거 가족의 자녀를 본인이나 자식의 결혼상대로는 여기지 않았다.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이 같은 조사내용이 담긴 가족 다양성 국민 여론조사 결과를 26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우리 사회에 다양한 가족 형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됐다. 지난 16~20일 만 19~79세 성인남녀 1009명에게 전화 설문으로 진행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은 ±3.1%포인트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67%가 남녀가 결혼하지 않고 동거하는 것을 수용할 수 있다고 답했다. 20대 이하(89.7%)와 30대(81.0%), 40대(74.3%)의 찬성 비율이 높았지만 50대(56.6%)와 70대(46.0%)도 적지 않았다. 또한 응답자의 63.4%는 “비혼 동거 등 법률혼 이외의 혼인에 대한 차별 폐지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중앙일보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설문조사를 진행한 김영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젊은 세대는 한국의 확대가족적 문화를 기피한다. 대안 형태로 비혼 동거 등을 찾는다”며 “중장년 층은 이혼 이후 새로운 사랑을 만난 뒤 기존 가족에 피해가 갈 것 등을 우려해 비혼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양상은 다르지만 양쪽 세대 모두 법적 결혼만을 혼인으로 인정하는 한국사회에 대해 불만을 표시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중앙일보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혼 동거 커플의 자녀에 대해선 결혼 상대로 선호하지는 않았다. 본인이나 자녀가 결혼 상대로 비혼동거 가족의 자녀를 찬성할 수 있는지 여부를 묻자 45.2%만이 그렇다고 답했다. 50%가 넘는 비율은 결혼 상대로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뜻을 나타낸 것이다. 연령별로 보면 20대가 60.3%로 찬성률이 가장 높았고, 60대가 30.0%로 가장 낮았다. 미혼 부모의 자녀에 대해서도 56.6%만이 결혼 상대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입양된 자녀(78.3%), 한부모 가족 자녀(78.1%), 다문화 가족(76.8%), 재혼 가족(75.6%)의 찬성 비율과 비교하면 차이가 컸다. 결혼하지 않고 자녀를 가지는 것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50.6%만이 수용할 수 있다고 답했다.

김영란 연구위원은 “비혼 동거는 남은 해도 되지만 내 가족은 안 된다는 이중적 생각이 설문에 나타난 것”이라며 “한국 사회엔 정상적 형태의 가족과 맺어져야 한다는 ‘정상가족 이데올로기’ 프레임이 존재하는데 아직 비혼·미혼 가족은 정상 가족으로 보지 않는 시각이 존재하는 걸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히 미혼모ㆍ부의 경우 실제는 20대 이상 성인 비율이 높은데도, 미혼모ㆍ부라고 하면 미성년자인 경우를 떠올리는 경향이 반영돼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로 미성년이 자녀를 낳아 기르는 것에 대해선 29.5% 만 수용할 수 있다고 했다.

결혼하고 아이를 갖지 않는 것에 대해선 응답자의 64.1%가 그럴 수 있다고 답했다. 특히 여성(68.9%)이 남성(59.3%)보다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20대 이하가 90%이상, 30대와 40대는 70%이상인 반면 60대 이후는 30%대 이하로 젊은 세대일 수록 출산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혼인·혈연에 무관하게 생계와 주거를 같이 하면 가족이라는 생각에는 응답자의 66.3%가 동의했다. 생계와 주거를 같이하지 않아도 정서적 유대만 친밀하면 가족이 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48.5%가 동의하고 49.6%가 동의하지 않았다. 김영란 연구위원은 “그동안 한국 사회에서 전통적 의미의 가족에게 주어진 의무나 책임이 너무 커 세대가 흐를 수록 이에 대한 부담을 크게 느끼고 있다”며 “변화된 시대에 맞게 가족으로 짊어져야 할 의무와 부담을 국가가 사회보장을 통해 덜어주는 대신, 가족 형태와 관계 없이 구성원 간의 정서적 유대를 높이는 방향으로 가족 문화를 전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승호 기자 wonderma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