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법원 "후임병 구타하다 다친 선임병에게 국가배상은 불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재판부 "지휘관이 예견할 수 없던 상황"

아시아투데이


아시아투데이 황의중 기자 = 후임병을 구타하다가 오히려 맞아 다친 선임병에 대해서는 국가가 배상할 필요가 없다는 법원 판결이 나왔다.

서울중앙지법 민사항소4부(이종광 부장판사)는 A씨가 국가와 B씨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 항소심에서 원고 승소 판결한 1심을 깨고 “국가배상 책임이 없다”며 원고 패소 판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재판부는 “군인의 지위 및 복무에 관한 기본법에 따르면 A씨가 선임병이라 해도 후임병의 태도가 잘못됐다고 폭행하거나 권한 없이 명령·지시를 해서는 안 된다”며 “그럼에도 위법하게 B씨를 폭행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위법한 폭행에 순간적으로 흥분한 B씨가 A씨를 폭행해 상해를 입힌 것”이라며 “이는 우발적인 싸움에 의한 것으로 지휘관들이 예견할 수 없던 상황이기에 관리·감독자인 국가에게까지 책임을 물을 수는 없다”고 밝혔다.

A씨는 육군 일병으로 복무하던 2017년 1월 같은 중대 이병이던 B씨의 태도가 불량하다는 이유로 구타했다.

구타를 당한 B씨가 이에 반발해 A씨를 때렸고 맞은 A씨는 다리가 골절되는 등의 부상을 얻었다.

이에 A씨는 자신을 다치게 한 B씨와 국가의 지휘감독 책임을 물어 소송을 냈다.

1심은 B씨와 국가에 70%의 책임이 있다고 보고 연대해 800여만원을 배상하라고 판결했다. 그러나 항소심 재판부의 판단은 달랐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