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0 (금)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홍남기 "취업자 수 증가폭 목표 15만→20만명 상향 조정 아냐"…靑 "고용여건 개선 희망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전날(19일) 정태호 청와대 일자리수석이 언급한 취업자 증가 목표치 연평균 20만명에 대해 "아직까지는 일자리수석이 말한 것처럼 (정부 목표치가) 15만명에서 20만명으로 조정돼 있는 상황은 아니다"고 부인했습니다.

홍 부총리는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05차 긴급대외경제장관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하반기엔 상반기보다 경제상황 나아질 거라는 희망 속에 그런 말이 나왔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는데요.

그는 "(지난) 1~4월 평균이 17만6000명을 기록했다"며 "당초 세웠던 15만명보다 상향된 상황"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홍남기 기재부 장관 "취업자 증가 목표치 상향 아직 아니다"

앞서 청와대는 지난 19일 고용 상황이 올해 들어 작년보다 개선되고 있다며 희망적이라는 입장을 내놓았는데요.

이 추세를 이어간다면 올해 월평균 취업자 수 증가 폭 20만명을 달성할 수 있으리라는 것이 청와대의 설명입니다.

세계일보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일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제205차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하며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정태호 수석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각종 통계를 종합하면 고용 상황이 작년보다 개선되고 있고, 어렵기는 하지만 희망적"이라며 "그 배경에는 정책 성과도 있다. 추경안이 통과되면 고용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취업자 수와 관련해 정 수석은 "작년 취업자 증가 수는 (월 평균) 약 9만7000명이었는데, 올해 들어 취업자 증가 수는 2월 26만여명, 3월 25만여명, 4월 17만여명"이라며 "작년과 비교하면 획기적 변화"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국내 주요 기관들이 올해 예측한 취업자 증가 수는 10만∼15만명이었는데 지금 수치는 그 예측도 뛰어넘고 있다"고 강조했는데요.

이와 관련,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기자들을 만나 "올해 취업자 증가 폭은 (월평균) 20만명 내외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정태호 일자리수석 "올해 취업자 증가 수 급증…당초 전망치 뛰어넘는 수준"

취재진이 '고용지표 개선 지난해 고용이 워낙 좋지 않았던 것으로 인한 기저효과가 아니냐'라고 질문하자, 이 관계자는 "분명히 기저효과도 있겠지만, 하지만 신산업·신기술 분야와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일자리가 늘어나는 점을 고려하면 정책효과도 나타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청와대의 고용개선 전망은 현장과 괴리가 있는 것 같다'라는 물음이 나오자, 이 관계자는 "신산업 분야에서 고용이 늘고 있지만, 반대로 그동안 고용의 핵심적 역할을 했던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급격한 구조조정 과정을 거치고 있다. 이 분야에 취업한 분들이 큰 고통을 받고 있다"고 원인을 진단했는데요.

그는 "자동차업과 조선업의 시장이 좋아지면 정책적 효과를 체감할 수 있을 것"이라며 "성과를 빨리 내도록 전력을 다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노인일자리는 개선됐지만 청년 일자리 대책은 여전히 미흡한 것 아니냐'는 물음에는 "청년추가고용 장려금 제도나 청년내일채움공제 등을 도입해 큰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본다. 이런 부분에서 최대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세계일보

19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 브리핑룸에서 열린 일자리 수석 간담회에서 정태호 수석이 최근 고용동향과 정책방향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정 수석은 이처럼 고용 상황에 대한 긍정적 기대감을 내비치면서도 "여전히 자영업·제조업 취업자 감소가 전체 고용 환경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며 "향후 정책 핵심 방향은 이런 점을 고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민간 일자리 창출이 더 강력히 추진돼야 할 것 같다"며 "제조업 활력을 강화하기 위한 제조업 르네상스 정책을 강력히 추진하고, 스마트공장 중심으로 제조업 혁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