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푸틴, 6자회담 재개 꺼낸 이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6자회담국이 북 체제안전 보장

비핵화 협상 돌파구 모색한 듯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5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정상회담을 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북한에는 자국 안보와 주권 유지를 위한 보장이 필요하다”며 ‘6자회담 재개’를 언급한 배경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정상회담 뒤 기자회견에서 “현재 6자회담을 곧바로 재개할 필요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북한의 안전을 보장해야 하는 상황까지 간다면 국제적 보장이 필요할 것”이라며 “미국이나 한국 쪽의 보장만으로 충분하다면 좋지만, 이것만으로 충분하지 않다면 북한에 대한 국제적 안전보장 체제를 마련하기 위해 6자회담이 요구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북한은 비핵화 상응조처로 제재 해제와 함께 체제 안전 보장을 필요로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한·미 외에도 러시아·중국 등이 참여하는 6자회담을 통한 다자안보체제가 필요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최용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안보전략연구실장은 “푸틴 대통령은 비핵화와 핵 비확산에 대해 미국과 입장이 다르지 않지만, 대신 북한이 원하는 체제 안전 보장을 미국 혼자 하는 것보다는 러시아가 중국 등과 함께 역할을 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 실장은 “러시아 입장에서는 기존에 남·북·미 중심으로 진행되어온 비핵화 협상과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와 관련해 러시아의 역할과 영향력을 확대하겠다는 의지도 보인 것”이라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이 이날 언급한 ‘6자회담’은 북한의 안보 우려를 해소할 다자안보체제 역할에 무게를 둔 것으로 보인다. 6자회담에서 러시아는 동북아 다자안보 관련 워킹그룹의 의장국을 맡는 등 다자안보에 오랫동안 관심을 보여왔다.

김정은 위원장도 올해 신년사에서 “정전협정 당사자들과의 긴밀한 연계 밑에 조선반도의 현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다자협상도 적극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푸틴 대통령은 중국에서 26·27일 열리는 일대일로 정상포럼에 참석해 중국과 북-러 정상회담 결과를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기반으로 북·중·러가 ‘6자회담’ 재개 논의를 본격화할 가능성도 있다.

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

[▶네이버 메인에서 한겨레 받아보기]
[▶한겨레 정기구독] [▶영상 그 이상 ‘영상+’]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