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0 (금)

한강공원 입장객 10% 늘 때, 불법쓰레기·소음 2배로 증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무단투기·소음과 전쟁나선 지자체

“주말 여의도구간만 12~14t 쓰레기”

벚꽃 명소로 시민 몰리던 KAIST

주차·소음 민원 늘자 출입 제한도

중앙일보

서울 여의도 한강공원에서 환경 미화원들이 입장객이 버리고 간 쓰레기를 치우고 있다. 이곳은 주말에만 12~15t의 쓰레기가 배출된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주말인 20일 오후 4시쯤 한강공원 반포지구. 넓은 공원 곳곳에는 크고 작은 그늘막 텐트가 자리 잡고 있었다. 신반포 한신2차 아파트로 연결되는 공원 출입구 오른쪽 편에 있는 편의점 앞에는 사람들이 길게 줄을 서 대기하고 있었다.

손님이 늘면서 편의점 옆에는 임시 매점도 생겼다. 이 매점 앞과 화장실 인근에는 군데군데 쓰레기가 쌓여 있었다. 텐트 주변에도 페트병과 검은 비닐봉지가 보였다. 반포동에 사는 김종현(44)씨는 “입장객이 몰리면서 곳곳이 쓰레기 천지고, 음식 냄새가 진동해 저절로 눈살이 찌푸려진다”고 말했다.

여기서 6㎞쯤 떨어진 여의도 한강공원은 사정이 더 심각했다. 공원으로 연결되는 지하철 여의나루역 2·3번 출구에는 호객꾼 20여 명이 음식점 전단지를 나눠주고 있었고, 바닥은 버려진 전단지로 어지러웠다. 한강공원 입장객은 2014년 6449만 명에서 지난해 7098만 명으로 10.1% 증가했다. 하지만 시민의식은 뒷걸음질이다. 같은 기간 과태료 부과 건수는 2575건에서 6038건으로 갑절 이상으로 늘었다. <그래픽 참조>

중앙일보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원군 한강공원 여의도센터장은 “지난해 2400만여 명이 여의도공원을 찾았다”며 “주말에만 12~15t의 쓰레기가 배출된다. 올해는 단속반원 40명을 투입해 쓰레기 무단투기, 반려견 관리 소홀 등에 과태료를 매길 방침”이라고 했다.

대전의 대표적 벚꽃 명소인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22일까지 학술문화관과 교양분관 등 일부 건물에 대해 외부인 출입을 제한했다. 불법 주차와 쓰레기 투기, 소음 등으로 골치를 앓자 특단의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KAIST 관계자는 “외부인들이 인도를 점령한 불법 주차에다 잔디밭에서 술을 마시고 크게 떠들면서, 시험을 준비 중인 학생들 불만이 이어졌다”고 말했다.

요즘 대구 달서구 용산역 일대는 쓰레기로 몸살을 앓는다. 이 일대에선 주말 오후 7~10시만 되면 130여m 거리에 50L짜리 종량제 봉투 3~6장, 재활용품 포대 2장 분량의 쓰레기가 수거된다. 관광지도 아닌 도심 대로변이 행락철마다 쓰레기로 뒤덮이는 것은 이곳이 전국 관광지로 출발하는 임대버스들의 기점이어서다. 용산역 일대엔 주말마다 100~500대의 버스가 몰린다.

지방자치단체들은 쓰레기와 전쟁을 선포했다. 서울시는 쓰레기 무단투기의 온상으로 지적된 그늘막 텐트에 대해 운영 구역과 시간을 제한한다. 여의도와 반포 등 13곳에만 텐트를 설치할 수 있다. 오후 7시에는 텐트를 걷어야 한다. 계도 기간을 거친 후에는 최대 100만원의 과태료를 물릴 계획이다. 또 22일부터 단속반 237명을 11개 한강공원에 투입해 기존 하루 4회씩 진행하던 단속 횟수를 8회로 늘린다. 소음 민원이 제기되자 거리공연팀은 지난해부터 160개에서 100개로 축소 운영하고 있다. 공연 소음은 60데시벨(㏈) 이하로 제한하고, 스피커 방향도 한강 쪽으로 유도하고 있다.

대구 달서구청도 다음 달 26일까지 주말 오후 6~10시 집중 단속에 나선다. 쓰레기를 무단투기하다 적발되면 100만원 이하 과태료를 부과할 방침이다.

양민규 서울시의회 의원(민주당)은 “지난해 500만 명 가까이 방문한 밤도깨비 야시장의 경우 장소를 한강공원과 분리하는 등 관리 효율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상재 기자, 대전·대구=신진호·김정석 기자 lee.sangjai@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