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9 (일)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 격상 ‘형제의 나라’ 된 우즈베키스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정상회담

쿠키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즈베키스탄을 국빈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19일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대통령과 우즈베키스탄 영빈관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특별전략적 동반자 관계 수립 등 양국관계 발전, 실질협력 증진, 한-중앙아 지역 평화, 번영을 위한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양 정상은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2006년 수립된 양국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한 단계 높여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하기로 했다. 한국이 외교관계를 맺고 있는 190개 수교국 중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수립한 나라는 지금까지 인도, 인도네시아, UAE 세 나라였는데, 이번 국빈방문 계기에 한국의 네 번째 특별 전략적 동반자 국가가 탄생한 것이다.

회담에서 양 정상은 사람 중심의 국정 철학을 공유하며, 에너지, 인프라, 5G, 보건의료, 교육 등 국민 삶의 질을 높여나갈 수 있는 분야에서 성과를 내야한다는 데 깊이 공감했다.

그 가운데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교육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우즈베키스탄 2년 전 대학진학률이 9퍼센트였다. 하지만 지금은 20퍼센트이고 앞으로 50퍼센트까지 끌어올릴 것이다. 교육을 통해 성장한 한국을 배우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문 대통령은 '우즈베키스탄은 자원이 풍부하지만, 한국은 그렇지 않다. 그래서 교육으로 인해 성장한 인적 자원이 한국경제의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의 인적 양성을 통한 성장 방향은 앞으로 훨씬 높은 경제성장을 이뤄낼 것이다'고 답했다.

양국간 무역 불균형에 대해서, 문 대통령은 '2018 양국 교역액은 수교 이래 최대치인 21억불을 기록했다. 하지만 수출과 수입액 차이가 상당하다. 앞으로 호혜적 관계를 만들 수 있도록 한-우즈베키스탄 FTA가 추진된다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우즈베키스탄에는 고려인 18만 명이 살고 있다. 하지만 그 가운데 약 1000명이 무국적자로 거주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에서 살 때는 문제가 없지만, 해외 나갈 때는 비자 발급 문제 등으로 어려움이 많다'며,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관심을 부탁했다. 이에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이미 해결하라는 지시를 내렸고, 곧 국적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며 고려인들에 대한 우선조치를 약속했다.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와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은 '우즈베키스탄은 중앙아 비핵화 지대 조약 체결을 주도한 국가이다. 이는 한반도 비핵화에 교훈과 영감을 주고 있다. 앞으로도 지혜를 나눠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중앙아의 평화를 위해 정상회담 개최 등 대화와 외교로 해결하려는 노력을 해왔다. 많은 장애물이 있더라도 한번 시작된 길이기에 다시 되돌아가지 않을 것이다'며 '평화가 없으면 아무것도 없다. 평화를 기반으로 한 국민을 섬기는 대통령이 되겠다'고 답했고, 문 대통령도 이에 적극 공감을 표했다.

또한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문 대통령의 헌신적 노력을 잘 알고 있고, 세계도 인정하고 있다. 대통령의 한반도 프로세스는 민족의 운명을 결정하는 일이다. 부디 4차 남북정상회담이 성공리에 개최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고민정 청와대 부대변인 이번 정상회담 계기,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 격상으로 '형제의 나라'가 된 양국은 고부가가치 산업, 보건,의료, 과학기술, 공공행정 분야 등으로 협력의 지평을 확대, 심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제2, 제3의 이동욱 차관'이 나와 양국간 우호적 관계의 상징이 될 것이며, 이는 한국 기업과 국민들이 우즈베키스탄에 진출할 수 있는 경제적, 사회적 기회를 대폭 확대할 것이라며 우즈베키스탄은 우리 주요 교역, 투자 대상국이자 경제협력 파트너로서 우리 정부 신북방정책의 주요 협력대상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영수 기자 juny@kukinews.com

쿠키뉴스 이영수 juny@kukinews.com
저작권자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