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1 (금)

해군, 중국 관함식에 대장 대신 중장 보낸다…"상호주의 원칙"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해군의 2함대 소속 신형호위함인 경기함(FFG·2500t급)이 22~25일 중국 칭다오에서 열리는 중국 국제관함식에 참가한다. 권혁민 해군참모차장(중장)이 이끄는 해군 대표단 또한 적극적인 군사 외교 활동을 할 예정이다.

이 관함식은 중국 해군 창군 7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마련됐다. 시진핑 주석이 해상 사열을 하고, 최신 함정을 선보일 정도로 중국이 공을 들여 준비하는 행사다.

경기함은 2500톤급 한국형 호위함의 두 번째 함정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이번 파견 규모가 축소된 점을 들어 우리 군 당국의 군사 외교가 소홀한 것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관함식에 참가하지 않은 미국과의 관계를 고려한 것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

이와 관련해 해군은 이례적으로 중국 해군 관함식 참가 보도자료에 '한·중 관함식 대표 장성 및 함정 상호 교류 현황'이라는 참고자료를 덧붙였다. 2000년대 이후 한국과 중국의 각각 2차례의 관함식에 2009년 중국 관함식에 한국 해군참모총장이 방문한 경우를 제외하고 모두 중장 또는 소장이 상대 관함식에 갔다는 설명이다. 2009년에도 중국의 해군사령원 상장(대장급)이 한국 해군본부를 먼저 찾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답방의 성격이라는 내용도 있었다.

그러나 '외교 소홀' 논란은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중국 해군 70주년을 맞이한 관함식이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배치로 드물어진 양국의 군사교류를 되살릴 좋은 기회였음에도 이를 놓쳤다는 아쉬움 때문이다. 실제로 일본은 해군총장에 해당하는 야마무라 히로시 해상막료장을 중국 관함식에 보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관련해 해군은 "한·중 간 국제관함식 참가는 상호주의 원칙에 따라 시행해 왔다"며 "함정은 당시의 함정 운용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결정했다"고 해명했다. 중국은 지난 2018년 대한민국 국제관함식에 함정 파견을 막판에 취소했고, 대표단도 중국 동해함대사령원(중장급)을 보냈다. 이에 따라 우리 해군도 이번 중국 관함식에 중장급 해군참모차장을 보낸다는 입장이다.

[디지털뉴스국 최서진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