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침례병원 ‘또’ 경매 소식에 시민들 뿔났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시민단체 “부산 시민 건강권 헐값에 넘길 작정이냐” 반발

쿠키뉴스


다음달 2일로 침례병원의 4차 경매일이 예정돼 시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부산시가 경영난으로 파산한 침례병원을 부산의료원 금정분원, 즉 공공병원으로 전환키 위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경매일이 잡힌 것에 대해 보건의료 시민단체는 강한 유감의 뜻을 밝혔다.현 상황은 오거돈 부산시장으로서도 적잖은 부담이다. 지난 지방선거 당시 오 시장은 침례병원 공공인수를 공약으로 내세웠기 때문이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4차 경매가는 440억 원. 이는 당초 부산지방법원 경매부가 밝힌 매각 가격의 절반이다. 헐값 및 반값 매각 시도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그럼에도 매각가가 반 토막으로 떨어지다 보니 '군침'을 삼키는 업체들이 늘어나는 것은 당연지사. 여러 건설사 및 민간 의료기관 등은 이번 경매에 참여 의사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매각시 공공병원 전환은 사실상 물 건너가는 것이 된다.

'공공병원 설립을 위한 부산시민대책위'는 18일 기자회견을 통해 '우회투자를 통한 민간인수를 시도하는 등 편법적인 매수계획도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며 이번 경매가 중단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이 민간에 침례병원의 매각을 반대하는 이유는 매각의 '명분'이 없다는 것이다. 대책위는 '민간매각은 부산시민의 건강권을 헐값․반값으로 팔아먹는 행위'라며 '4차경매에 침례병원이 낙찰된다면 부산시민의 염원인 공공병원 설립은 좌초되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우회투자 의혹과 관련해 대책위는 민간매각을 '인수업체와 우회투자자의 배만 불리는 특혜 매각'으로 규정한다. 440억 원이라는 헐값은 당초 매각가격보다 낮아 인수자가 수백억 원대의 이득을 꾀할 수 있다는 것이다.

헐값 매각 논란과 함께 고개를 드는 것은 채권액 문제다. 임금채권자와 일반채권자, 즉 거래업체의 채권 수백억 원 중에 실제로 받을 수 있는 채권액은 '0원'이라는 게 시민단체의 주장이다.

또한 침례병원 인수에 적잖은 부산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공공병원 전환은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부산지법-부산시 간의 공공인수 협의도 지지부진해 선뜻 종합병원 외의 용도변경 불허 결정이 떨어지지 않고 있다.

대책위가 민간 인수업체를 향해 '부동산 인수를 통한 돈벌이를 포기하고 부산시민의 건강권을 위한 공공인수에 적극 협조하라'는 요구에 힘이 실리지 않는 이유다.

현재 대책위는 민간의 인수 가능성을 차단코자 우회투자 등 각종 의혹과 비위사실, 인수과정의 부당함, 인수 후 부당한 용도사용과 청탁 등의 폭로 및 법적 조치 등을 실시하겠다며 경고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또 부산지법을 향해서도 임금채권자 농성 등을 통한 책임 추궁을 예고했다.

한편, 대책위는 4차 경매를 앞두고 무기한 철야 농성, 1인 시위, 부산시민대회 등 비상행동을 취하겠다고 밝혔다.

김양균 기자 angel@kukinews.com

쿠키뉴스 김양균 angel@kukinews.com
저작권자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