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국회와 패스트트랙

홍영표 한 마디에 '허탕' 친 바른미래 패스트트랙 의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바른미래, 18일 패스트트랙 도입 위한 의총 열어

계파 갈등 별개, 홍영표 합의안 부인 발언에 '얼음'

홍영표 "수사·기소권 모두 가져야 하는 입장 변화 없어"

김관영 "민주당과 협상하겠다"…당내 갈등 그대로

이데일리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바른미래당 의원총회가 끝난뒤 손학규 대표와 김관영 원내대표가 심각한 표정으로 의견을 나누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박경훈 기자] 바른미래당이 추진했던 ‘선거제 개편’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를 골자로 한 패스트트랙 당내 합의가 또 다시 불발됐다. 곪을 대로 곪은 계파 갈등에 더해 더불어민주당 지도부의 잠정 합의안 부인 발언이 겹쳐 논의는 흐지부지 됐다. 바른미래당은 민주당과 최종 합의안 협상에 들어갈 계획이다.

18일 오전 9시에 시작한 바른미래당의 의원총회는 3시간 30분이란 긴 시간 동안 이어졌다. 정오가 넘겨 회의장 문을 나온 김관영 원내대표는 “그동안 (민주당과) 잠정합의한 공수처 내용은, 검사·판사·경무관 직급 이상 경찰 등 세 분야 기소권만 남겨놓고 나머지는 그대로 분리한다는 원칙에 잠정합의했었다”며 “다만 회의 중간에 홍영표 민주당 원내대표의 (합의안을 부인하는) 백브리핑이 나왔다”고 말했다. 이어 “이 문제에 관해 더이상 (이전에) 합의된 안을 전제로 한 더이상의 논의를 진행하지 않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바른미래당의 의총이 열리고 있던 시각 홍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바른미래당은 패스트트랙 합의안을) 제안도 안 했다”며 “수사권과 기소권 모두를 가져야 한다는 (기존) 입장에서 바뀐 게 없다”고 강조했다. 사실상 바른미래당이 진행한 의총 의미 자체가 없어져 버린 것.

당장 유승민 전 대표는 이 상황에 대해 어이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유 전 대표는 의총을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김 원내대표는 ‘최종합의가 있다’고 주장했다”며 “그런데 홍 원내대표가 한 말을 보니 합의를 전적으로 부인했다”고 전했다. 이어 “양당 원내대표가 서명한 구체적인 합의안이 있어야지 말로만 ‘한 사람은 합의했다고 하고, 한 사람은 안했다’는 이런 바보같은 의총을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따졌다.

이로써 민주당과 군소 야 3당이 추진하던 패스트트랙은 암초에 부딪히게 됐다. 당장 바른미래당은 민주당과 ‘서면 합의안’ 작성을 위한 협상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김 원내대표는 “조만간 민주당과 바른미래당 사이 공수처 안에 대해 최종적인 합의안을 문서로 작성하겠다”며 “합의문을 기초로 해서 의원들의 뜻을 모으는 작업하겠다”고 설명했다.

다만 민주당과의 합의가 이뤄지더라도 바른미래당 내 합의는 별개라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이날 회의에서도 바른정당계 의원들은 패스트트랙 반대를 주장했다. 바른정당계인 유의동 의원은 “기본적으로 선거제 패스트트랙 도입에 대해 반대한다”며 “일부 의원들이 ‘패스트트랙 안건은 당론으로 정하는 게 아니다’는 말은 한다”고 불만을 표출했다.

현재 바른미래당은 패스트트랙 안건 지정을 두고서도 ‘절반의 동의면 안건 지정이 가능하다’는 국민의당계와 ‘당론 지정이기 때문에 3분의 2의 동의가 필요하다’는 바른정당계가 맞서고 있다. 이와 함께 국민의당계지만 김중로 의원 같은 경우는 ‘연동형 비례대표제’ 자체를 반대하는 등 패스트트랙 안건을 강행 통과해도 후폭풍은 상당할 전망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