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이슈 국회와 패스트트랙

바른미래당, 내일 '선거제 패스트트랙' 놓고 끝장토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바른미래당이 18일 의원 총회를 열어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하기 위한 선거법 개정안을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으로 추진할지 '끝장 토론'을 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추진해온 여야 4당 패스트트랙 공조를 둘러싼 바른미래당 내 노선 갈등이 재연될 것으로 보인다.

조선일보

바른미래당 김관영 원내대표가 16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바른미래당 김관영 원내대표는 17일 "오는 18일 오전 9시 각종 현안을 논의하고자 제 54차 의원총회를 개최한다"며 의총 소집을 의원들에게 공지했다. 바른미래당 관계자는 "당 일각에서 손학규 대표에 대한 퇴진론이 있는 가운데 패스트트랙 여부와 당 지지율 회복 방안 등 현안을 다룰 예정"이라고 했다.

특히 이 자리에서는 그동안 당내 이견이 있어온 선거법 패스트트랙의 추진 여부가 결정날 전망이다. 유승민 의원 등 바른정당 출신들은 선거법을 패스트트랙으로 일방 처리하는 것은 물론, 이를 공수처 설치법 등 사법제도 개편 관련 법안과 묶어 처리하자는 당 지도부 방침에 반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4·3 보궐선거 패배의 책임론을 놓고도 손 대표 측과 바른정당계는 대립하고 있어 이날 의총이 당 분열의 분수령이 될 수 있다는 말도 나온다.

바른미래당이 이날 의총에서 어떻게 결론을 내느냐에 따라 선거제 개편안 처리의 향방도 가닥이 잡힐 전망이다. 국회법상 안건을 패스트트랙으로 지정하려면 재적 의원의 60%(180명) 이상 또는 해당 상임위 재적 60% 이상이 찬성해야 가능하다. 자유한국당(114석)에 바른미래당(29석)까지 패스트트랙에 반대하면 패스트트랙 지정이 쉽지 않다. 또 권력구조 개편안을 다루는 국회 사법개혁특별위원회에서도 바른미래당 2명이 빠지면 숫적으로 패스트트랙 지정이 불가능해진다.

당내에선 선거제 개편안 패스트트랙 지정과 관련해 찬반 양측 사이에 절충이 쉽지 않아 이날 의총에서 갈등만 재연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김명지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