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여드름·습진 치료제 ‘레티노이드계’ 의약품, 임산부 사용 주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소트레티노인’, ‘알리트레티노인’, ‘아시트레틴’ 함유 경구제, 태아 기아 유발

쿠키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오는 6월부터 가임기 여성이 피부질환 치료제인 '레티노이드계' 의약품을 사용할 때, 반드시 임신을 확인하도록 하는 '임신예방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레티노이드계' 의약품은 ▲중증의 여드름 치료제인 '이소트레티노인' ▲중중의 손 습진 치료제인 '알리트레티노인' ▲중증의 건선 치료제인 '아시트레틴'을 함유하는 경구제를 말한다.

모두 태아에게 심각한 기형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임부 사용을 금지하고 복용 중에는 절대로 임신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이번 임신예방 프로그램에는 ▲의,약사는 환자에게 기형 유발 위험성, 피임기간(복용 1개월 전, 복용 중, 복용 후 최소 1개월. 단, 아시트레틴은 복용 후 3년까지)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환자는 설명을 듣고 피임 등 임신예방 프로그램에 동의한 경우에만 처방을 받을 수 있으며, ▲의,약사는 환자가 임신하지 않았음을 확인한 후 처방,조제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또 주기적인 임신 여부 확인을 위해 해당 의약품은 30일까지만 처방된다.

한편 식약처는 임신예방 프로그램을 위해 지난해 7월 '레티노이드계' 의약품을 위해성관리계획 대상으로 지정했다.

위해성관리계획(Risk Management Plan, RMP)은 첨부문서, 환자용,전문가용 사용설명서 등을 통해 의약품의 위해성을 완화하여 의약품 안전사용을 강화하고자 도입됐다.

해당 업체는 임신예방 프로그램을 포함한 계획을 제출했으며, 허가사항 변경을 위한 절차가 마무리되는 6월부터 실시할 예정이다.

해당 제약사는 '레티노이드계' 의약품의 태아기형유발 위험성과 주의사항을 포함한 안내서, 의,약사용 체크리스트, 환자용 동의서 등을 관련 병의원,약국에 배포하고 식약처에 이행상황을 보고해야 한다.

참고로 식약처는 그동안 '레티노이드계' 의약품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의,약사 등 전문가 대상 안전성 서한 발송 ▲포스터,카드뉴스,교육영상 제작,배포 등 지속적으로 안내,홍보한 바 있다.

식약처는 이번 임신예방 프로그램을 통해 안전한 의약품 사용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하며, 국민 안전을 위한 의,약사의 적극적인 협조와 더불어 소비자들도 안내사항에 동참해 줄 것을 당부했다.

◇위해성관리계획(RMP) 실시 대상 의약품 현황(4월 10일 기준)

적응증

<중증여드름>
㈜대웅제약, 아큐네탄연질캡슐10밀리그램(이소트레티노인)
㈜동구바이오제약, 트레논연질캡슐(이소트레티노인)
㈜마더스제약, 로이탄연질캡슐(이소트레티노인)
㈜메디카코리아, 니메겐연질캡슐(이소트레티노인)
㈜아이월드제약, 오피큐탄연질캡슐(이소트레티노인)
고려제약(주), 이소트렌연질캡슐(이소트레티노인)
성원애드콕제약(주), 이소탐연질캡슐(이소트레티노인)
아주약품(주), 아키놀연질캡슐(이소트레티노인)
영일제약(주), 핀플연질캡슐(이소트레티노인)
우리들제약(주), 우리큐탄연질캡슐(이소트레티노인)
위더스제약(주), 레씨범연질캡슐(이소트레티노인)
제이더블유신약(주), 제로큐탄연질캡슐(이소트레티노인)
코오롱제약(주), 트레틴연질캡슐10mg(이소트레티노인)
콜마파마(주), 트레인연질캡슐(이소트레티노인)
한미약품(주), 이소티논연질캡슐(이소트레티노인)

<중증 건선>
㈜종근당, 네오티가손캡슐10밀리그램(아시트레틴)

<중증 손습진>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알리톡연질캡슐10밀리그램(알리트레티노인)/알리톡연질캡슐30밀리그램(알리트레티노인)

유수인 기자 suin92710@kukinews.com

쿠키뉴스 유수인 suin92710@kukinews.com
저작권자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