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라이프 트렌드] “사용자·사용처 간 상호운용 위한 블록체인 표준화 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라이프&경제 스페셜 리포트 -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진단과 전망⑩
블록체인 기술이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운영 종류만 해도 인터넷으로 접근하는 모두에게 공개되는 ‘퍼블릭’, 기업·기관의 내부 전산망을 이용해 하나의 주체가 관리하는 ‘프라이빗’, 여러 기업·기관들이 공동 참여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등으로 구분된다. 사용 범위로 따지면 더 다양하다. 금융·의료·게임 등 다른 산업에 응용·확장할 수 있어서다. 이에 따라 기술 사용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엄격한 기준을 마련하는 표준화 작업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중앙일보 라이프 트렌드는 연속 기획으로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전망한다. 10회에선 구경철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표준화본부장에게 블록체인 표준화에 대해 물었다.

인터뷰 구경철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표준화본부장


중앙일보

지난 12일 경기도 성남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표준화본부장실에서 만난 구경철 본부장이 블록체인 표준화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프리랜서 김동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구경철 본부장
● 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팀장

● 한국컴퓨터통신연구회(OSIA) 부회장

● 한국ITU연구위원회 ITU-T 연구단장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표준화본부장



Q : 기술 측면에서 블록체인 표준화란 무엇인가.

A : “정보통신기술(ICT) 표준이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각종 정보시스템이 통신 주체 간에 합의된 규칙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표준의 집합은 스마트폰이다. 스마트폰은 통신망(3G·4G·5G), WiFi, 모바일 결제서비스, 얼굴 인식 등 다양한 표준 기술이 적용돼 있는 기기다. 한 예로 해외여행을 갈 때 과거에는 국가마다 통신망이 달라 로밍폰을 빌려 출국했고, 한국에서 사용되는 전화기는 현지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다. 하지만 이동통신 표준은 서로 다른 통신망 간에도 상호 연동이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현재 스마트폰은 표준화돼 세계 어느 곳에서도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도 다양한 국가·기업 등이 경계 구분 없이 자유롭게 사용하려면 표준화가 정비돼야 한다.”




Q : 어떤 항목이 들어가나.

A : “블록체인 기술의 표준화 대상에는 용어 정의, 플랫폼, 보안기술, 구현 알고리즘, 응용서비스 등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부분을 포함한다. 이 같은 항목의 표준화는 블록체인 생태계에 대한 전반적인 정의를 결정하고 기술과 관련된 이해 당사자 간의 합의를 돕는다. 비트코인을 예를 들면 비트코인 소유자가 상점이나 식당 등에서 현금처럼 사용하려면 사용자와 사용처 간에 암호화폐를 자산으로 증명할 수 있는 기준이 필요하다. 이때 블록체인 표준화가 적용되는 것이다.”




Q : 세계적인 현황이 궁금하다.

A : “블록체인 표준화는 2017년을 기점으로 국내외 표준화 기구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국내 정보통신 표준화기구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에서는 용어 정의 표준을 시작으로 블록체인 구현 사례, 온라인 투표 모델, 스마트 의료, 미디어 상거래 등의 표준을 개발했다. 현재는 금융권 블록체인 보안, 전자지갑 모델 등의 표준들을 개발하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유엔 산하 ICT 표준화 기구인 ITU-T SG17(보안)과 ISO TC 307(블록체인 및 분산원장기술) 그룹에서 국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여기에는 미국·중국·일본·한국 등의 대표단이 참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피면 ITU-T SG17에서는 분산원장기술의 보안기술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ISO TC 307은 블록체인 및 분산원장기술 전반에 대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Q : 실제 운영하고 있는 내용이 있나.

A : “블록체인 표준화는 국내외적으로 아직 초기 단계다. 따라서 실제 적용되고 있는 사례는 현재 시점에서는 찾기 어렵다. 하지만 국내에서 정부 주도로 운영되고 있는 온라인 투표, 소고기 이력관리 같은 시범사례가 성공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산업체에서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사용자 요금 처리, 고객정보 관리, 제조·유통에서의 제품 관리, 외환 거래 등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어 민간 부문에서의 표준 개발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Q : 현재 가장 주목할 수 있는 국제 정책은.

A : “2016년 다보스포럼을 시작으로 세계적으로 블록체인에 대한 정부 정책이 발표되고 있다. 미국 재무부는 기관의 재원 관리에 블록체인을 적용하는 파일럿 프로젝트 착수 및 기술 도입을 발표했고, 미 연방준비제도(FRB)는 IBM과 협력해 블록체인 지급 결제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일본 총무성은 정부 전자시스템에 블록체인 도입을 발표했고 지방자치단체의 물품 조달 및 전자 신청 시스템에 적용할 예정이다. 중국 인민은행은 사용자 신원 조회와 화폐 유통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A : 유럽 22개국은 전 유럽 국가 간에 블록체인을 이용한 건강 증진과 개인정보보호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에스토니아는 ‘디지털 어젠다 2020 에스토니아’ 정책을 선언하며 국민의 신원관리·건강기록·금융기록·전자선거 등 국가 차원에서 블록체인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해 6월 ‘신뢰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을 구현하는 블록체인 기술 발전전략’을 발표, 국가 기반시설에 확산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Q : 마지막으로 블록체인 산업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사안은.

A : “비트코인 같은 암호화폐가 블록체인의 전부라고 오해하는 사람이 많다. 근본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은 데이터 소유권과 사생활 보장 등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ICT기술인 DNA(Data·Network·AI)에서 중요 인프라로 인식해야 한다. 특히 산업 간 융합 분야에서 상호 운용성을 돕는 ‘블록체인 표준화’의 중요성을 인지해야 한다.”


라예진 기자 rayeji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