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암호화폐 지급결제의 미션 'UX를 잡아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암호화폐 지불 어려운 이유, UX와 법률적 이슈가 핵심

이용자들의 선택을 받기 위해서는 사용법이 다르지 않거나 좀 더 편리해야

UX 잡기 위해 다양한 방법 모색하는 암호화폐 지급결제 업체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불 시스템의 변화를 가져오겠다던 비트코인이 열 살이 되었다. 그러나 아직 암호화폐는 ‘화폐’라는 이름을 달고도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해외에서는 텐엑스(TenX), 펀디엑스(PundiX), 와이렉스(Wirex) 등의 암호화폐 결제 프로젝트가 서비스를 시작했고, 정부의 라이선스를 따낸 프로젝트들도 간간이 찾아볼 수 있다. 그런데 국내 암호화폐 지급결제 사업 상황은 지지부진하다. 정부의 암호화폐에 대한 경계심이 높고 암호화폐 시장의 열기가 식어가면서 관심도 떨어졌기 때문이다. 암호화폐로 결제를 하겠다는 사람들 역시 급격히 감소했다.

암호화폐 붐과 함께 등장했던 초기 국내 지급결제 업체 ‘코빗페이’, ‘한빗페이’ 등은 일찍이 상용화에 실패하고 철수했다. 강남고속버스터미널 지하상가 ‘고투몰’의 150여 곳에 비트코인 간편결제를 도입해 주목을 받았던 HTS코인은 1년이 지난 현재 결제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HTS 코인을 도입했던 고투몰의 한 점주는 “어떤 방식으로 우리 지갑으로 들어오는지 알지도 못한다”며 “처음 교육도 이해하기 어려웠고, 이제는 찾는 손님들이 없으니 잊은 지 오래”라고 전했다.

왜 어려울까? 사용성의 문제
암호화폐 지급결제의 걸림돌로는 암호화폐의 가치 변동성, 블록체인 기술 특성상 거래 지연, 시장 상황 등 여러 가지 이유가 뒤따른다. 전문가들은 그중 가장 중요한 요소로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UX)’을 꼽는다. 이용자들의 선택을 받기 위해서는 기존의 인프라와 사용법이 거의 다르지 않거나, 좀 더 편리해야 한다.

국내 900여 개의 가맹점을 모아 실제 거래까지 이끌어 냈던 이더리움 기반의 결제 업체 코인덕의 신민섭 대표는 “결제하면서 길고 복잡한 프라이빗 키를 복사해서 붙여넣어야 하고, 매번 다른 QR코드나 바코드를 생성해야 하니 불편한 것”이라며 “사람들의 관심도가 줄어든 것도 있지만, 쓰기에 편리하지 않다는 점이 이용자들의 등을 돌리게 만든다”고 전했다. 김홍욱 한국블록체인연구회 연구원은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비롯한 암호화폐 지급결제 서비스에 대해 “토스와 같이 사용자의 행동 특성을 철저힌 반영한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는 “대부분의 블록체인 회사들이 탈중앙화와 P2P를 ‘만능키’라고 생각하는데, 서비스 자체에 집중하는 것이 최우선 순위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며 “블록체인도 더 나은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수단이 되어야 하지 목적이 되어선 안된다”고 전했다.

왜 어려울까? 법률적 걸림돌
법률적 이슈도 암호화폐 결제의 걸림돌이다. 지급결제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금융 기관 및 업체 등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해주기 위한 PG(Payment Gateway) 라이선스를 획득해야 한다. 암호화폐를 매개로 지급결제 사업을 준비하는 업체의 경우, 암호화폐의 성격이 법적으로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아 PG라이선스를 꼭 획득해야 하는지도 분명하지 않다. 대형 기업들은 정부의 눈치를 보느라 사업을 중단하고, 작은 업체는 아직 ‘회색지대’를 이용해 라이선스 없이 사업을 준비하기도 한다. 이와 관련해 구태언 테크앤로 변호사는 “암호화폐는 아직 화폐로서 효력이 없는 자산일 뿐이라 PG라이선스가 필요한 사업 범위에 들어가는지는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며 “전자 금융법상 암호화폐로 변제하는 것을 ‘거래’로 보는 지가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UX를 잡기 위한 지불·결제 업체들의 트렌드 변화
UX를 잡기 위해 국내 암호화폐 지불결제 업체들은 다양한 길을 모색하고 있다. 테나프로토콜은 기존 신용카드사와의 협력을 통해 지불결제를 실현하고, 암호화폐를 인센티브로 활용한다. 실물경제에서의 결제는 신용카드가 담당하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QR코드를 찍고 신용카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이에 따라 이용자들은 기존의 신용카드 혜택을 받으면서 동시에 암호화폐인 테나토큰도 추가로 지급받을 수 있다. 복해든누리 테나프로토콜 대표는 “암호화폐가 가치 안정성을 찾더라도 환전해야 하고, 계좌에 넣고 빼는 등의 불편성 때문에 화폐처럼 쓰이려면 먼 미래가 될 것”이라며 “이용에 가장 편리하고 장점이 되는 부분을 극대화하도록 사업을 구상했다”고 말했다.

특정한 공간에서 제한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용자들의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지불결제 모델도 나왔다. 지난해 12월 론칭한 글로스퍼의 결제플랫폼 하이콘페이는 특정 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이콘페이는 결제하는 사용자에게 해당 관광지의 호텔 할인혜택을 제공하고 관광지 내 사용처를 개발 중이다. 케이스타그룹의 스타페이 역시 암호화폐 간편결제를 공연장과 티켓팅이라는 제한적 공간과 목적을 위해 활용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와 관련해 김태원 글로스퍼 대표는 “일반 매장에서는 기존 화폐의 사용이 더 편하니 당연한 것”이라며 “하이콘페이 사용처로는 관광과 관련된 가맹점이 주요 대상이라며, 호텔이나 지역 축제장, 놀이공원의 경우 내부에서 일정한 규칙을 통해 소비가 이뤄지는 특성이 있고, 사전에 예약하는 경우도 많아 암호화폐 사용이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오프라인보단 온라인
기존 오프라인 결제에 집중하던 지불결제 업체들은 온라인으로 눈을 돌리기도 한다.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 빗썸이 운영하는 빗썸페이는 지난해 초 서울 지역 내 약 30여 곳의 가맹점을 만들고 결제 서비스를 진행했다. 이에 대해 빗썸 관계자는 “현재는 (오프라인 가맹점을) 모두 철수하고 온라인에 집중하고 있다”고 전했다. 신민섭 코인덕 팀장은 “(코인덕 팀도)오프라인은 현상유지 정도로 하고 있고, 온라인과 은행 인프라가 부족한 해외 결제서비스에 눈을 돌리고 있다”며 “암호화폐는 기존 화폐(Fiat money)의 가치가 떨어지는 국가나 은행 서비스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곳에서 먼저 쓰이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민서연기자 minsy@decenter.kr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