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기자수첩]현대重·대우조선 노조, 계산기는 두드려봤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데일리 김미경 기자]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KDB산업은행 본점 정문 앞. 대우조선해양 노동조합 간부 80여명의 손에는 달걀이 쥐여있었다. 누군가 확성기에 대고 “던져주십시오!”라고 외치자, 손을 떠난 달걀들이 건물 벽에 부딪혀 산산조각 났다.

‘조선 빅딜’이 예상대로 노조라는 암초를 만났다.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노조가 동시에 ‘밀실 빅딜’ 반대 파업을 결의했다. 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 인수를 저지하겠다는 명분이다. 피인수자인 대우조선 노조는 20일 반대 집회를 시작으로 27일에는 전체 노조원의 산업은행 본점 상경집회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두 노조는 ‘인력구조조정 우려’를 이유로 들고 나왔다. 산은이나 현대중공업 사측이 “인위적 구조조정 필요성이 없다”고 설득하고 있지만 소용이 없었다. 다음달 8일 본계약 체결에 맞춰 연대파업도 예고했다.

산업계 안팎에선 두 노조의 저항이 지나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대우조선의 가장 이상적인 주인이 현대중공업이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었고, 올해 그 결론이 나올 것이라는 건 예상됐던 시나리오이기 때문이다.

우선 대우조선의 입장에선 현대중공업이 인수함으로 인해 외국계나 사모펀드에 매각했을 경우 필연적으로 수반하는 인력감축을 피하거나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었다. 현대중공업 노조로썬 하필이면 임단협 합의안 찬반투표가 있는 날 ‘빅딜’이 발표됐으니 당황스러울 수 있다. 하지만 피인수자가 아닌 인수자 입장에서 이렇게 거세게 반발할 일이냐는 시각도 있다.

아쉬운 건 두 노조가 인수합병(M&A)이 발표되자마자 곧바로 파업 카드부터 꺼내들었다는 점이다. 이번 딜로 두 회사 직원들이 어떤 영향을 받을지, 정말 구조조정이 발생할 것인가에 대한 분석이 이뤄졌는지 의문이다.

지금으로서는 더 이상의 인력구조조정이 필요한 상황도 아니라는 게 산업은행이나 회사의 입장이다. 정부와 산은이 빅딜을 추진한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두 노조의 투쟁이 호응을 얻으려면 구시대적인 ‘계란투척 투쟁’이 아니라 ‘누구나 받아들일 수 있는 타당한 이유’를 내놔야 한다. 그렇지 않은 막무가내 투쟁은 실제 구조조정에 대한 우려보다는 M&A 협상에서 배제된 상황에 대한 불만 표출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받을 수밖에 없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