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비타민D 결핍 환자 급증… “50대 여성 주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골다공증 원인 될 수 있어
한국일보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비타민D 결핍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가 2017년 기준 한해 9만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연령대별로는 50대 여성 환자가 가장 많아 비타민D 부족으로 인한 골다공증 위험에 유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국내에서 '비타민D 결핍'(E55)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가 2013년 1만8,727명에서 2017년 9만14명으로 4년간 3.8배 증가했다고 21일 밝혔다. 2017년 기준 남성 환자는 1만9,148명, 여성은 7만866명으로 집계됐다.

연령대별 진료 현황을 보면 50대 환자(2만5,839명, 28.7%)가 가장 많았다. 이어 40대(1만7,907명, 19.9%), 60대(1만6,450명, 18.3%)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40~60대 중장년층 환자가 전체의 67%를 점유하고 있었다. 특히 50대 여성 환자가 2만1,345명에 달해 성별과 연령대를 통틀어 가장 많았다. 박세희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여성은 외출 시 자외선 차단 크림을 바르는 게 일상화돼 햇빛에 의한 비타민D 생성이 충분히 되지 않아 결핍이 더 흔한 편"이라며 "여기에 더해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에 대한 관심 증가로 비타민D 결핍에 대한 진료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계절별로는 매년 가을철(9~11월)에서 겨울철(12~다음 해 2월)로 갈수록 비타민D 결핍 환자가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연중 겨울철에 환자가 가장 많았고, 겨울철 환자가 봄철보다 30% 이상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비타민D는 자외선에 의해 주로 피부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겨울철에 결핍 환자가 더 늘어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비타민D는 지용성비타민의 하나로 칼슘대사를 조절해 체내 칼슘과 인의 흡수를 돕고 뼈를 강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부족하면 구루병, 골연화증, 골다공증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비타민D 결핍을 막기 위해서는 적절한 용량의 보충제를 복용하거나 연어, 고등어, 참치, 달걀노른자 등의 음식을 섭취하면 된다. 또 하루 15~20분 정도 햇볕을 쬐는 것이 비타민D 생성에 도움이 된다. 자외선 차단제를 얼굴에 바르는 경우 팔과 다리를 햇빛에 노출하는 것도 좋다.

김지현 기자 hyun1620@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