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호주 총리 "의회 해킹은 '국가 행위자' 소행"…언론, 中 의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최근 의회·정당 전산망 공격당해…5월 총선 앞두고 긴장

연합뉴스

스콧 모리슨 호주 연방정부 총리
[EPA=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이경욱 기자 = 스콧 모리슨 호주 연방정부 총리가 호주 연방의회 전산망이 최근 사이버 공격을 당했다며 외국에 혐의를 두고 있는 듯한 발언을 했다.

모리슨 총리는 18일 이번 사이버 공격에 대한 당국의 수사가 진행되는 가운데 열린 의회 증언에서 "연방정부 사이버 전문가들은 '정교한 국가 행위자'(sophisticated state actor)가 악의적인 행위를 저질렀다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고 dpaㆍAP 통신 등이 전했다.

다만 그는 악의적인 행위를 한 배후의 '국가'가 어디인지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호주 현지 언론은 보안 담당 관리들의 말을 인용, 중국이 이번 사이버 공격의 배후에 있을 수 있다고 전했다.

모리슨 총리는 연립정부를 구성하고 있는 자유당과 국민당, 그리고 야당인 노동당 전산망도 사이버 공격을 받았다며 "다만 선거구 개입 등의 증거는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호주사이버보안센터(ACSC)가 연방정부 및 주 정부 선거관리 당국에 이번 사이버 공격에 대해 설명했다고 덧붙였다.

호주에서는 5월 이전 연방의회 총선이 진행된다.

최대 주 뉴사우스웨일스주에서는 다음 달 23일 총선이 치러진다.

빌 쇼튼 노동당 대표는 "이번 사이버 공격은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며 "이를 외면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8일 발생한 사이버 공격은 호주 의회 전산망을 상대로 이뤄졌다.

이 전산망들은 의원 및 보좌진들이 사용하는 것이다.

사이버 공격을 받은 전산망 사용 의원과 보좌진들이 예방 차원에서 비밀번호를 급하게 변경하는 번거로움을 겪었다.

다만 연방정부 장관 및 직원들은 별도의 전산망을 이용하고 있어 피해를 겪지 않았다.

이에 앞서 미국과 영국 정부 관리들은 지난해 12월 미국 및 영국, 그리고 최소 10여개 국에서 활동 중인 기업들과 정부 관계기관들이, 국가가 지원하는 중국 해커들로부터 대규모 자료 도난 피해를 봤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는 이런 주장을 부인했다.

연합뉴스

사이버 공격
[EPA=연합뉴스]



kyungle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