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럭셔리 에르메스는 왜 한국 보자기를 둘렀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 전통에 영감 받아 제작…이름도 그대로 살려

루이비통도 최근 태극기 넣은 재킷·가방 등 선보여

“한국은 럭셔리 시장서 트렌드 세터…이미지도 신선”

중앙일보

에르메스가 올 봄여름 신상품으로 선보인 '보자기 스카프'. [사진 에르메스 홈페이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을 들여라.” 최근 럭셔리 브랜드마다 한국을 모티브로 한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다. 프랑스 럭셔리 브랜드 에르메스는 올 봄 스카프 신제품을 내놓으며 ‘보자기의 예술(L'artdu Bojagi)’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에르메스는 매 시즌 독특한 패턴과 색감으로 브랜드를 대표하는데, 이번엔 한국 전통 소품에서 아이디어를 따 왔다. 실제 보자기 사이즈처럼 넉넉한 가로·세로 140㎝의 숄 형태로, 무늬 역시 보자기의 특징을 그대로 살렸다. 천이 삼각·사각으로 다양하게 접히는 모양을 패턴으로 삼고, 보자기 매듭 역시 그대로 담아냈다. 에르메스 측은 “총괄 아티스틱 디렉터인 피에르 알렉시 뒤마가 한국 전통 문화에서 영감을 받아 특별한 스카프 제작을 제안했고, 제작팀이 그 뜻을 살려 제작하게 됐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를 위해 파리 본사 디자인팀이 한국 자수 박물관을 방문, 소장품에서 영감을 받은 디자인을 제품에 반영하기도 했다. 에르메스 코리아 관계자는 “판매 수익금의 일부를 2015년부터 문화재청과 진행 중인 한국 문화유산 보존 작업에 후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중앙일보

제품명에 보자기를 영문 표기한 모습.


이에 앞서 루이 비통은 지난 1월 남성복 컬렉션에서 다양한 국기를 트렌치코트·스카프·가방 등을 사용하면서 태극기도 포함시켰다. 미국·영국·이탈리아·가나 등 10여 개 나라 중 유일한 아시아 국가였다. 셔츠 상단인 어깨와 가슴에 태극 문양과 건곤감리가 쓰였고, 가방 정중앙엔 태극기 그림이 프린트돼 있다. 지난해 루이 비통의 첫 흑인 디자이너로 발탁된 버질 아블로가 국가와 사회의 다양성·통합성을 상징하는 의미로 패치워크 방식의 국기를 내걸었는데, 루이 비통 측은 “그가 이끄는 스튜디오 팀원들의 국적을 의미하기도 한다”고 밝혔다.

중앙일보

다양성과 통합을 내세운 루이 비통의 컬렉션. 아시아 국가 중 유일하게 태극기가 포함됐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에는 한글을 그대로 사용하는 브랜드 제품이 눈길을 끌었다. 디자이너 라프 시몬스는 2018 봄·여름 컬렉션에서 ‘아메리카’라는 한글이 들어간 30만원대 티셔츠를 공개한 바 있다. 그는 한 시즌 전 아디다스·이스트팩과 만든 가방에선 ‘자연이 빚은 상주곶감’, ‘삼도 농협’이란 한글이 들어간 보자기 원단을 포인트로 사용하기도 했다. 특히 패션쇼에서도 모델이 농부의 작업복처럼 스카프가 달린 모자나 고무장화를 착용하자 당시 업계에선 “한국 농촌 풍경에서 영감받은 것”이라는 분석이 주를 이뤘다. 이외에도 일본 디자이너 요지 야마모토는 2018 봄·여름 남성 컬렉션에서 ‘나무아미타불’이라고 적힌 넥타이를 선보이며 화제를 모았고, 런던 듀오 디자이너 브랜드 ‘프린 바이 손튼 브레가찌’도 같은 시즌 컬렉션에서 한국 해녀를 ‘독창적인 환경 페미니스트’로 칭하면서 해녀 잠수복과 어망·부표 등 소품을 현대적으로 탈바꿈시켰다.

중앙일보

라프 시몬스가 지난해 이스트팩과 협업한 백팩. 상주곶감 글자를 그대로 넣었다. [중앙포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전에도 럭셔리 브랜드가 한국을 모티브로 한 제품을 내놓는 경우는 종종 있었다. 하지만 국내에서 패션쇼·전시 등 대형 행사가 벌어지거나 플래그십이 문 열면서 이를 기념하는 한정판 형태가 주를 이뤄왔다. 이에 반해 최근 한국 모티브 디자인은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제품이라는 점에 차이가 있다.

중앙일보

요지 야마모토는 2018 봄여름 컬렉션에서 타이에 나무아미타불 한글을 넣었다. [사진 요지 야마모토 홈페이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처럼 ‘한국을 들이는’ 행보가 이어지는 데는 이유가 있다. 매출이 작은 시장이지만 중국 등 아시아 시장에서 가장 감각있는 트렌드 세터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다. 중국은 전 세계 럭셔리 패션시장에서 매출 32%를 차지하는 큰 손이다. 한양대 럭셔리 연구소장인 박정근 교수(경영학부)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국내 스트리트 패션이 감각적인 옷차림으로 호평받는 데다 K팝으로 해외 젊은 소비자들에 호감도를 높여 왔다”고 분석했다. 실제 방탄소년단·엑소 등은 럭셔리 브랜드에서 선호하는 패션 아이콘으로 대접받고 있다.

중앙일보

제주 해녀를 모티브로 한 프린의 컬렉션. [사진 프린]




이외에도 한국 문화나 글자는 글로벌 시장에서 낯선 이름·색깔·문자가 지니는 새로움이 매력으로 작용한다는 의견도 있다. 아시아 국가에서도 중국·일본·태국 등의 전통 이미지가 이미 다양하게 소비된 것과 달리 희소성이 남아있다는 이야기다. 패션 컨설팅 전문업체 ‘트렌드랩506’ 이정민 대표는 “‘예쁘다’보다 ‘재미있다’에 지갑을 여는 밀레니얼 세대를 공략하는 디자인이 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도은 기자 dangdol@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