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세월호 인양 그 후는

세월호 희생 단원고 학생들 3년 만에 명예졸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세월호 참사 생존학생 졸업식이 열린 12일 경기도 안산시 단원고등학교 명예 3학년 교실을 찾은 유가족과 시민들이 교실을 찾아 희생 학생들을 추모하고 있다. 2016.1.12. 서울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4년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안산 단원고 학생 250명(미수습 2명 포함)이 명예졸업하게 됐다.

단원고는 오는 12일 오전 10시 본관 4층 단원관에서 ‘노란 고래의 꿈으로 돌아온 우리 아이들의 명예 졸업식’을 연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명예 졸업식은 당시 수학여행을 떠났다가 희생된 2학년 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이들은 참사가 일어나지 않았다면 졸업할 예정이었던 2016년에서 3년이 지난 올해 졸업장을 받게 됐다.

단원고 측은 “그 동안 미수습 학생들이 돌아올 때까지 명예 졸업식을 미뤄달라는 유족들의 요청이 있었다”면서 “유족 측에서 올해 명예 졸업식을 해달라는 의견을 전달해 와 행사를 진행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졸업식은 합창 및 추모 동영상 상영, 명예 졸업장 수여, 졸업생 편지 낭독 등의 순서로 진행되며, 유가족 등 5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희생 학생들이 명예 졸업장을 타기까지 우여곡절도 많았다.

단원고와 경기교육청이 2016년 생존 학생들을 졸업시키면서 희생 학생 전원을 제적 처리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진 것이다.

당시 학적처리 시스템 상 희생 학생들의 학적이 남아 있는 한 생존 학생들의 졸업 처리가 되지 않자 희생 학생들을 제적 처리해버린 것이다.

유족들이 반발하는 등 문제가 불거지자 도교육청은 교육행정정보시스템 나이스(NEIS)를 운영하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과 협조해 ‘제적’ 상태에서 ‘재학’ 상태로 학적 복원 작업을 진행했으며, 2016년 11월 교육후 훈령인 ‘학교생활기록 작성 및 관리지침’이 개정되면서 희생 학생들의 학적이 완전히 회복됐다.

또 교육부는 나이스 시스템에 ‘명예졸업’ 메뉴를 신설하기도 했다.

단원고 양동영 교장은 “앞으로 4·16 교육 체제의 비전을 단원고에서 먼저 실천해 나가겠다. 또 후배들의 안전 교육을 강화하여 안전 의식을 제고하는 공동체 교육을 하겠다”면서 “주기마다 마음을 모아 추모 행사를 시행하여 학생들과 선생님들의 희생을 영원히 기억하고 나아가 희망을 품고 미래를 열어가는 교육을 하겠다”고 말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