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울산시 노동특보 "광주형 일자리로 울산 일자리 줄지 않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래차 전략 놓치고 대립·불신 키우면 울산 자동차산업 위기 올 것"

연합뉴스

'광주형 일자리' 손 맞잡은 노사민정
(광주=연합뉴스) 천정인 기자 = 30일 오후 광주시청 중회의실에서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를 시작하기 앞서 위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날 노사민정협의회는 광주시와 현대차의 광주형 일자리 잠정합의안을 심의·의결한다. 2019.1.30 iny@yna.co.kr



(울산=연합뉴스) 장영은 기자 = 광주시와 현대자동차의 '광주형 일자리' 투자 협상이 타결되자 울산시는 "광주형 일자리가 합의됐다고 울산 일자리가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정창윤 울산시 노동정책 특별보좌관은 30일 타결 소식이 전해진 뒤 "기아차 모닝을 동희오토에 위탁 생산한다고 해서 기아차에 고용과 경영에 위기가 오지 않은 것과 같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 특보는 "다만, 울산 노사정이 자동차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미래차 전략을 놓치고 대립과 불신만 키우면서 서로가 머리를 맞대지 못하게 될 때 울산 자동차산업 위기가 온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고 지적했다.

그는 "광주형 일자리는 제조업 위기와 그에 따른 일자리 위기를 극복하고자 제기된 지역특성에 맞는 일자리 창출 모델"이라며 "다음 세대 청년들을 위한 일자리이자 싼 임금을 찾아 외국으로 나가려는 제조업 위기를 돌파해 보려고 시도되는 사회통합형 일자리 정책"이라고 설명했다.

정 특보는 "울산은 이제 다른 지역 일자리 정책에 대한 찬성과 반대라는 논리에 갇혀 있을 것이 아니라 울산지역 산업특성에 맞는 울산 자동차산업 미래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지난 17일 문재인 대통령의 울산 방문을 통해서 큰 그림이 그려지고 있고, 수소경제라는 큰 밑그림을 바탕으로 울산 자동차 산업 미래전략을 수립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 특보는 "단기적으로 울산은 현대차 핵심 주요차종(제네시스, 산타페, 투산, 스타렉스,코나, 넥소 등) 메카"라며 "잘 팔리는 주요차종 경쟁력을 강화해서 고숙련 노동에 기초한 고부가가치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어 "중단기적으로는 자동차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미래차 전략을 세우는 것이고, 현대차가 가장 뛰어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수소차 시대를 준비하는 것"이라며 "수소차 관련 부품업체들을 양성하고 유치해서 일자리를 확보하고 내연기관이 없어지면서 예상되는 부품 감소에 따른 고용문제는 베이비 부머 세대 은퇴와 자연감소로 현재의 고용을 유지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미 현대차 노사와 울산시는 울산 자동차산업 미래전략을 위해 노사정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했다.

연합뉴스

울산시-민주노총 울산본부 간담회
2018년 12월 5일 송철호(가운데) 울산시장이 시청에서 민주노총 울산본부와 간담회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앞서 송철호 울산시장은 지난달 5일 광주형 일자리와 관련해 "광주형 일자리는 광주시가 추진하는 것으로 울산시가 평가를 하기는 쉽지 않다"고 밝힌 바 있다.

송 시장은 당시 "광주형 일자리 추진과 관련한 현대자동차 노조의 문제 인식에 공감하고 시민 불안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며 "현대차 미래와 울산지역 일자리 안정에 대해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young@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