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일하는 노인 증가에 '소비>소득' 연령, 56→58세로 늘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의료보험 등 사회복지 혜택을 포함한 총소비 금액이 소득을 앞지르는 연령이 5년만에 2세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급격한 인구고령화 여파로 ‘일하는 노인’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고령자에 대한 의료비 지원과 기초연금 등 소득보조 강화로 고령자 대상 공공 지출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연금 수급 등은 늘어나지 않았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15년 국민이전계정 개발 결과’에 따르면 연령별로 1인당 총소득에서 총소비를 뺀 값이 적자가 되는 연령이 2010년 56세에서 2015년 58세로 2세 높아졌다. 통계청이 이번에 발표한 국민이전계정은 국내총생산(GDP) 집계 등에 쓰이는 국민계정자료를 활용해 각 연령별로 소득과 소비 추이를 각각 분석한 값이다. 민간 뿐만 아니라 공공부문을 포함하기 때문에 세금, 공공부조, 의료보험 등 사회보험, 교육비 지원 등이 모두 포함된다.

조선비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핵심 개념 중 하나는 ‘생애주기적자’다. 생애주기적자는 각 연령별로 민간 및 공공 소비를 모두 더한 값에서 소득을 뺀 값이다. 생애주기적자가 마이너스 값이면 총소득이 총소비보다 많다는 것이다. 거꾸로 생애주기적자가 플러스면 총소비가 총소득보다 많다는 의미다. 여기서 소비는 가계 단위로 이뤄지는 민간 소비 뿐만 아니라 국가나 지자체 등의 지출도 모두 포함된다.

가령 9세 아동의 경우 부모가 번 소득으로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것 뿐만 아니라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교육비 지출, 사회복지혜택까지 포함해 소비를 산출한다. 여기에 연령별 소득을 뺀 값이다. 연령별 소득은 근로소득만 계산되며, 자영업자의 사업소득은 3분의 2를 근로소득으로 잡는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생애주기적자가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전환되는 연령이 2010년 56세에서 2011~2013년 57세, 2014~2015년 58세로 올라가고 있다. 최바울 통계청 경제사회통계연구실장은 "인구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노동시장에 남아있는 노인들이 많아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조선비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제는 속도다. 연령별 노동시장 참가 행태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띈다. 그런데 2010년과 2015년을 비교해 보면 고령자의 연령별 소득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만 61~65세 1인당 평균 소득은 405만원, 66~70세는 273만원 늘었다. 26~30세 132만원보다 2~3배 더 큰 것이다. 31~35세 323만원과 엇비슷한 규모다. 그만큼 노인 취업자가 늘었다는 의미인 것이다.

고령자에 대한 공공지출도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다. 만 61세 이상이 조세, 연금, 건강보험 등을 통해 받는 공공연령재배분은 2010년 1인당 평균 551만원에서 2015년 629만원으로 늘어났다. 특히 71세 이상의 경우 같은 기간 평균 595만원에서 844만원으로 뛰었다. 치매 및 간병 지원, 의료보험 보장 강화 등 고령층 대상 사회보장이 늘어나면서 공공이전 규모가 커진 것이다.

조선비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5년 현재 소득이 가장 높은 연령은 43세로 1인당 평균 2896만원을 벌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생애주기적자도 마이너스 1306만원이었다. 소비는 1590만원이었다. 하지만 연령대별 인구까지 감안할 경우 44세가 총 11조8000원을 벌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과 청소년의 경우 공공소비는 6~17세에 1인당 평균 983만~1294만으로 급격히 뛰었고, 민간소비는 14세 1인당 1175만원에서 15세 1302만원, 16세 1386만원으로 급증했다. 1인당 민간소비가 가장 큰 연령은 28세로 1741만원이었다.

세종=조귀동 기자(cao@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