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손혜원 "사비털어 목포 구도심 살리려 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문화재 등록되면 부동산 가치 떨어져"
주진형 "2017년 투자 권유 받았지만 사양"

조선일보

더불어민주당 손혜원 의원이 지난해 12월17일 오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불법도박 근절을 위한 제도개선 포럼'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목포 지역 부동산 투기’ 의혹에 휩싸인 손혜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6일 "재개발을 막고 목포의 역사적 가치를 지키고자 지인들을 설득해 목포 구도심의 건물들을 매입하도록 추천했다"고 반박했다. 또 해당 의혹을 제기한 SBS에 대한 법적대응 계획도 거듭 밝혔다.

손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자신이 ▲문화재 지정 과정에 압력 행사했고 ▲미공개 정보를 활용해 문화재 지정 이전 측근에 건물 매입을 추천했으며 ▲시세 급등으로 차익을 챙겼다는 의혹에 대해 해명했다.

◇"문화재 지정되면 손해...사비 털어 리모델링"

손 의원 측 주장의 핵심은 사유재산이 문화재로 지정되면, 금전적 손해를 본다는 지점이다.

문화재로 등록되면 개발이 제한돼 부동산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실상 문화재 등록을 앞두고 이를 철거하는 사례가 많다는 것이다. 그는 "문화재 지정을 막아야 아파트 재개발을 통해 금전적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게 상식"이라며 "문화재청은 재개발을 위해 문화재 지정을 해제해달라는 민원에 시달리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손 의원은 목포 구도심이 몰락하는 상황에서 마구잡이식 재개발을 막기 위한 결정임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난 2017년 5월 인천 중구청이 근대건축물인 비누공장 ‘애경사’를 등록문화재로 보존하는 문화재청의 시도에 건물 철거로 응대한 사례를 제시했다.

손 의원은 이어 "주변 지인들을 설득해 목포 구도심의 건물들을 매입하도록 추천했지만, 금전적 이익은 커녕 손해를 감수해야하기에 지인들조차도 어렵게 설득해야만 했다"고 주장했다.

손 의원과 조카 등 3명이 매입한 게스트하우스 ‘창성장’과 관련, 2017년 6월 매입한 뒤 국가지원 없이 수천만원의 사비를 들여 리모델링 했다고 설명했다. 해당 건물이 위치한 만호동 일대는 2018년 8월 문화재 지구로 지정됐다. 손 의원은 "개발이익을 얻기 위해서라면 문화재 지정이 되기 전까지 방치했어야 한다"며 "1년 후에 문화재 지구로 지정될 사실을 알고 건물을 매입했다는 건 억지주장"이라고 했다.

조선일보

6일 더불어민주당 손혜원 의원 측근이 매입한 것으로 알려진 전남 목포 '창성장'에 적막이 흐르고 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여당 간사인 손 의원은 목포 원도심 일원이 문화재로 지정되기 전 측근을 통해 건물 다수를 매입했다는 의혹을 받는다./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화재 지정, 의원 한명이 좌지우지 못해"

손 의원은 특히 "문화재 지정 절차는 국회의원 한 명이 좌지우지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의원이 된 후 역사와 문화를 살리는 도시재생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주장했고, 이 과정을 페이스북과 팟캐스트 등을 통해 공개했다"며 "SBS 보도대로라면 투기하겠다고 공언하면서 투기를 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여권 일각에선 손 의원의 입장에 힘을 싣는 주장이 이어졌다. 2016년 당시 민주당 국민경제상황실 부실장을 지낸 주진형 전 한화투자증권 사장은 페이스북을 통해 "손 의원이 2017년 가을부터 몇주전까지 나에게도 구시가지에 있는 건물을 사라고 권했지만, 쇠락해가는 도시 구석지에 복구 비용도 만만치 않아 사양했다"며 "등록문화재 지정이 부동산 투기에 호재가 된다면 나에게 투자를 권하면서 그걸 말하지 않았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했다.

앞서 역사학자 전우용 씨는 "자기 소유지와 건물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는 것이 이익인지 손해인지는, 건물주들이 잘 안다. 문화재 지정 공고가 나기 전에 구역 내 소유 건물을 팔아치우거나 헐어버리는 것은 투기꾼은 물론 보통 건물주의 상식"이라며 손 의원을 변호했다.

[이슬기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